사회 사회일반

[2018 사회조사] “결혼해야 한다” 응답율 절반 이하로 첫 추락

"결혼 안하고 동거할 수 있다"도 처음으로 50% 넘어

"가사분담은 공평해야" 2008년에 비해 2배 가까이 껑충

우리나라 13세 이상 국민의 과반이 결혼을 필수가 아닌 선택이라고 여기는 것으로 조사됐다./사진=이미지투데이우리나라 13세 이상 국민의 과반이 결혼을 필수가 아닌 선택이라고 여기는 것으로 조사됐다./사진=이미지투데이



우리나라 13세 이상 국민의 과반이 결혼이 ‘필수가 아닌 선택’이라고 여기는 것으로 조사됐다.

결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48.1%로 올해 처음 50% 이하로 떨어졌다. 남녀가 결혼하지 않아도 함께 살 수 있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56.4%로 처음으로 절반을 넘어섰다.


통계청은 6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18년 사회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통계청은 전국 2만5,843 표본가구 내 상주하는 만 13세 이상 가구원 약 3만9,000명을 대상으로 지난 5∼6월 조사를 진행했다.

◇ 13세 이상 남녀 48.1%만 “결혼해야 한다”

우리나라의 13세 이상 남녀 중 결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올해 48.1%로, 처음으로 50% 이하를 기록했다.

결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2010년 64.7%에서 2012년 62.7%, 2014년 56.8%, 2016년 51.9%로 하락세를 타다가 이번에는 50% 아래로 떨어졌다.

결혼을 해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46.6%, 하지 말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3.0%였다.

성별에 따라서 결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남성(52.8%)이 여성(43.5%)보다 높았다. 결혼 반대 의견은 상대적으로 여성(3.8%)이 남성(2.2%)보다 근소하게 높았다.

남녀가 결혼하지 않더라도 함께 살 수 있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56.4%로 역시 처음으로 50%를 상회했다.

결혼을 하지 않더라도 함께 살 수 있다는 비율은 2010년 40.5%에서 2012년 45.9%, 2014년 46.6%, 2016년 48.0%로 꾸준한 오름세였다.

결혼하지 않고도 자녀를 가질 수 있다는 생각에는 30.3%가 동의했다. 결혼하면 자녀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69.6%로, 남성(72.6%)이 여성(66.6%)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식 문화에 대해서는 70.6%가 과도한 편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자녀와 동거하는 비율 4분의 1 수준으로 추락

관련기사



자녀와 함께 사는 부모의 비율은 27.1%로 2008년(38.0%)에 비해 10.9%포인트 가량 줄어들었다.

부모와 자녀가 동거하는 비율은 역시 2010년 35.3%, 2012년 33.7%, 2014년 31.4%, 2016년 29.2%로 내림세를 타고 있다.

부모만 따로 사는 경우는 69.5%로 2008년(60.2%)에 비해 9.3%포인트 증가했다.

부모 스스로 생활비를 해결하는 비율은 55.5%로 갈수록 증가하는 반면 자녀가 부모 생활비를 제공하는 비율은 44.4%로 점점 감소하고 있다.

부모의 노후 생계는 가족과 정부, 사회가 함께 돌봐야 한다는 견해가 48.3%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26.7%는 가족을 지목했다.

부모의 노후를 가족이 돌봐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2008년 40.7%에서 2012년 33.2%, 2016년 30.8%로 감소 추세다.

◇ 13세 이상 남녀 59.1% “가사는 공평하게 분담”

우리나라 13세 이상 남녀 중 가사는 공평하게 분담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올해 59.1%로 2008년 32.4%에 비해 2배 가까이 급증했다.

가사를 부인이 주도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2008년 66.5%에서 올해 38.4%로 낮아졌다. 실제로 가사를 부인이 주도하는 비율은 감소하고, 공평하게 분담하거나 남편이 주도하는 경우는 늘었다.

연령대 별로는 19∼29세가 공평하게 분담하거나 남편이 주도하는 비율 49%로 높고 40∼50대는 부인이 주도하는 비율이 80% 이상으로 상대적으로 높았다.

가족 중에는 자녀와의 관계에 대한 만족도가 75.6%로 가장 높았다. 배우자와의 관계는 남성은 75.8%, 여성은 63.0% 만족해 부인보다 남편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이 드러났다.

/이서영인턴기자 shyung@sedaily.com

이서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