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점점 더 나빠지는 대기환경…국민 3명 중 1명 "미세먼지 불안"

4일 서울시내가 미세먼지 때문에 뿌옇게 보이고 있다./연합뉴스4일 서울시내가 미세먼지 때문에 뿌옇게 보이고 있다./연합뉴스



우리나라 13세 이상 국민 중 3분의 1 이상은 5년 전보다 환경이 나빠졌다고 여기는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은 6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18년 사회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통계청은 전국 2만5,843 표본가구 내 상주하는 만 13세 이상 가구원 약 3만9,000명을 대상으로 지난 5∼6월 조사를 진행했다.

결과를 보면 환경 상황이 5년 전보다 나빠졌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36.4%로 좋아졌다(25.4%)는 답보다 10%포인트 이상 높았다. 5년 후에도 나빠질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36.8%로 그렇지 않다고 답한 이들보다 많았다.


현재 사는 지역의 전반적인 생활환경에 대해 좋다고 응답한 비율은 35.8%, 보통은 48.0%, 나쁘다는 16.2%였다. 특히 대기에 대해서는 나쁘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36.0%로 좋다(28.6%)보다 많았다.

관련기사



환경문제는 불안하다는 비율이 전반적으로 불안하지 않다는 답보다 많은 가운데, 미세먼지를 불안하다고 느끼는 비율이 82.5%로 가장 높았다. 이어 방사능(54.9%), 유해 화학물질(53.5%)에 대해서도 상당수 국민이 불안함을 느끼고 있었다.

우리 사회의 주된 불안요인으로는 범죄발생(20.6%), 국가안보(18.6%), 환경오염(13.5%), 경제적 위험(12.8%) 등이 꼽혔다. 남성은 국가안보(20.9%)가 여성은 범죄발생(26.1%)이 사회의 주된 불안요인으로 여기고 있었다.

우리 사회가 전반적으로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은 20.5%로 2년 전(13.5%)보다 7.3%포인트 증가했다. 우리 사회가 5년 전보다 안전해졌다고 생각하는 비율도 27.7%로 2년 전(12.0%)보다 15.7%포인트 늘었다. 야간 보행 시 두려운 곳이 있는 사람은 36.5%로 2년 전에 비해 4.4%포인트 감소했다. /이서영인턴기자 shyung@sedaily.com

이서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