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이 이사회 의결을 통해 경총 쇄신안을 발표한 7일. 예상대로 조직개편, 회계 투명성 강화 등 ‘뉴 경총’을 위한 밑그림이 나왔다. 하지만 이보다 더 눈길을 끈 것은 언론과 질의 과정에서 나온 김용근 경총 상근부회장의 ‘경총 역할 확대’다. 그는 “경총이 노사 문제라는 기존 영역을 넘어 경영계를 대표해 (경총이 다룰) 영역을 확장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런 언급은 박근혜 정부 당시 국정농단 사태와 얽히며 위상이 급격히 실추된 후 제자리를 못 찾고 있는 전국경제인연합회의 현실과 오버랩된다. 물론 문재인 정부 들어 대한상공회의소가 재계의 대표 창구 역할을 맡고 있기는 하다. 하지만 상공인단체인 상의가 재계 전반을 아우르는 것은 임시변통에 가깝다. 그런 맥락에서 경총의 변신 의지는 ‘경제단체의 리모델링’을 통해서라도 기업 이해를 대변할 조직이 절실하다는 인식의 발로라는 분석이 많다.
이런 가운데 전경련과 경총의 ‘통합론’이 시장에서 흘러나와 주목된다. 양 경제단체 간 최고위층에서 통합 제안이 오갔고 관련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는 것이다.
재계의 한 고위임원은 “기업의 발목을 잡는 정책이 끊이지를 않고 있고 미중 통상분쟁 여파로 경제 불확실성도 커진 상황 아니냐”며 “현재의 상의 중심 구조로는 안 된다는 공감대 속에 누가 먼저랄 것도 없이 양 단체 수뇌부가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운을 뗐다. 다른 관계자도 “실무선에서 구체적 논의가 이뤄지지는 않았고 (양 단체의 통합은) 여러 대안 중 하나”라며 “정부 부처 등 이런저런 요로를 통해 의사를 타진하고 있는 상태”라고 전했다.
외견상 이해관계는 맞아떨어지는 양상이다. 전경련의 경우 이미 삼성·현대자동차·SK·LG 등 4대 그룹 탈퇴로 경영이 어렵다. 임금도 30~40% 깎여 임직원 사기도 꺾일 대로 꺾였다. 산하에 있는 경제정책 의제를 발굴하는 한국경제연구원만 해도 연구원 숫자가 반토막 나 10명에도 못 미친다. 반전의 모멘텀 없이는 ‘전경련 패싱’이 회자될 만큼 추락한 현 국면을 되돌리기 어려운 실정이다. 경총도 역할 확대를 도모하는 마당에 전경련이 수십년간 축적해온 민간 경제 외교 역량, 국제 네트워크의 힘이 아쉽다. 실제 전경련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의 자문기구에 참여해왔고 미국상공회의소와는 매년 한미 재계회의를 개최해왔다. 전경련의 역량을 무시할 수 없다는 의미다.
때마침 시기도 나쁘지 않다. 내년 2월 허창수 전경련 회장의 임기 만료를 앞두고 있어서다. 전경련의 위상 추락으로 차기 회장 선임도 난항을 겪을 확률이 높은 차에 조직개편이 괜찮은 카드일 수 있다.
문제는 직원들의 동요. 전경련 내부에는 “경총에 사실상 합병되는 것은 굴욕”이라며 강경 입장을 보이는 직원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는 경총이 애초 전경련 내 고용업무 담당 부서였다가 ‘노조의 카운터파트’로서 사용자단체의 설립 필요성 때문에 지난 1970년 독립된 역사가 녹아 있다. 하지만 통합론에 우호적인 목소리도 적지 않다는 전언이다. 전경련 내부 사정에 밝은 한 관계자는 “통합론은 차치하고라도 어떤 식으로든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라는 공감대가 강하다”고 말했다. /이상훈·김우보기자 shlee@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