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文 "극동지역에 한-러 미래 있다"

포항 한러 지방협력포럼 참석

신북방정책·에너지협력 강조

문재인 대통령이 8일 “정부는 한반도의 평화를 통해 남북러 3각 협력의 기반을 확고하게 다질 것”이라며 “극동지역은 한반도와 유라시아의 물류와 에너지가 연결되는 핵심지역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8일 경북 포항 포스텍 체육관에서 열린 ‘제1회 한러 지방협력포럼’에 참석해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는 신북방정책을 강조하며 이같이 밝혔다. 이 포럼은 한국과 러시아가 극동지역을 중심으로 실질협력을 확대하자는 차원에서 개최됐다.


문 대통령은 “러시아 정부의 신동방정책과 우리의 신북방정책이 만나는 곳도 극동지역”이라며 “양국 간 교역액의 3분의1 이상인 71억달러가 극동지역에서 이뤄지고 있으며 지난해에만 10만명의 우리 국민이 옌하이저우를 방문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문 대통령은 이어 “러시아와 한국 사이에 추진되고 있는 가스·철도·전력·조선·일자리·농업·수산·항만과 북극항로 등 ‘9개의 다리 협력’도 중앙정부의 협력만으로는 실현될 수 없다”며 “양국 지방자치단체가 지역의 산업별 특성에 맞는 방안을 마련해 협력할 때 ‘9개의 다리’ 하나하나는 더욱 견실해질 것이며 지역 발전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대통령 직속 기구인 ‘북방경제협력위원회’를 소개하며 “러시아의 극동개발부와 힘을 모아 양국 지자체가 손을 맞잡을 수 있도록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북방경제 추진 과정에서 포항의 지리적 중요성도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한반도에 평화의 시대가 열리면 포항 영일만항은 북한 고성항과 나진항,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항과 자루비노항을 바닷길로 연결하는 물류와 관광의 거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동해선 철도가 다시 이어지면 철길을 통해 북한과 시베리아를 거쳐 유럽까지 연결되는 북방교역의 핵심적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국과 러시아는 이날 한러 지방협력포럼 관련 업무의 조율을 위해 상설사무국을 설치하고 매년 한국과 러시아에서 번갈아가며 포럼을 개최하기로 합의했다. 오는 2019년 2차 포럼은 옌하이저우의 블라디보스토크시에서 개최된다. 양국은 또한 경제·통상, 교육·과학, 인적·문화 교류 분야에서 협력을 증진해나가기로 했다. 이날 포럼에는 우리 측에서는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권구훈 북방경제협력위원회 위원장, 이철우 경북지사가, 러시아 측에서는 알렉산드르 코즐로프 극동개발부 장관 등이 참석했다.


윤홍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