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한국당 '조강특위 수습' 애쓰지만...곳곳에 암초

'문자 경질'에 뿔난 전원책

'김병준 외압' 추가폭로 예고

신임위원 놓고 갈등 불거지고

용두사미 쇄신 불만 커질수도

자유한국당 조강특위 위원에서 해촉된 전원책 변호사가 9일 오후 서울 마포구 동교동 자택 앞에서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연합뉴스자유한국당 조강특위 위원에서 해촉된 전원책 변호사가 9일 오후 서울 마포구 동교동 자택 앞에서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연합뉴스



자유한국당이 비상대책위원회와 갈등을 빚던 ‘전원책 경질’ 사태로 어수선해진 분위기를 최대한 빨리 추슬러 혁신 작업을 재가동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곳곳에 여전히 암초가 도사리고 있어 순탄하게 진행될지는 미지수다. 특히 전원책 변호사의 맞불 폭로 등 비대위와의 갈등이 2차전으로 치달을 가능성이 점쳐지면서 인적쇄신을 비롯한 당내 혁신 작업의 동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①전원책의 ‘폭로’ 예고=전 변호사는 지난 9일 비대위로부터 문자메시지로 해고 통보를 받은 데 강한 불만을 드러내며 조직강화특별위원회 구성 과정에서 비대위의 외압이 있었다는 사실을 언급했다. 그는 해촉 당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김병준 비대위원장이 조강특위에 특정 인물을 넣어달라고 한 게 갈등의 시작이었다. 첫 약속과 너무 달랐다”며 추후 기자회견을 통한 추가 폭로 가능성을 시사하는 등 비대위에 각을 세웠다. 또 평소 돌발발언을 서슴지 않는 전 변호사가 곧 방송활동을 재개하는 것도 비대위 입장에서는 부담으로 작용한다.


②신임위원 놓고 또다시 갈등=전주혜·이진곤·강성주 등 조강특위 외부위원 3인은 모두 전 변호사가 영입한 인물이다. 외부위원들이 전 변호사를 구심점으로 삼고 활동해온 만큼 향후 비대위가 외부위원과 어떤 관계를 설정하느냐에 조강특위의 성패가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전 변호사의 자리를 대체할 신임 외부위원 선임 과정이 외부위원들과 비대위 갈등의 뇌관이 될 수 있다는 관측이다. 김용태 사무총장은 전 변호사의 해촉 발표 직후 “해촉 결정이 나자마자 새로운 외부인사에 대해 동의를 묻는 작업에 들어갔다”고 전하며 특정인을 염두에 두고 있다는 취지로 말했다. 하지만 이 위원은 “일방적으로 어떤 분을 (비대위가) 내려보내는 것은 생각할 수 없다”며 비대위가 당 지도부 입맛에 맞는 인사를 일방적으로 영입할 경우 비토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관련기사



③인적쇄신은 도루묵=조강특위는 당 지도부가 제시한 일정에 맞춰서는 인적쇄신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해왔다. 전 변호사는 “내년 2월 전당대회는 인적쇄신을 하지 말라는 말과 똑같다”고 일갈하기도 했다. 조강특위 내에서도 “내년 2월 전대를 개최할 경우 적어도 12월 초까지 현역 의원 물갈이 작업을 마쳐야 하는데 그렇게 되면 당협심사를 제대로 할 수 없어 인적쇄신이 용두사미로 끝날 수밖에 없다”는 불만이 꾸준히 제기돼왔다. 따라서 조강특위가 당 일정에 맞게 결과물을 내놓더라도 그 내용에 대한 비판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한국당은 이르면 이번주 중 의원총회를 거쳐 한국당표 경제정책인 ‘I노믹스’를 공개하고 남북문제와 관련한 한국당의 입장을 정리한 ‘평화로드맵’도 내놓는 등 그동안 비대위 산하 소위원회에서 준비해온 혁신 작업의 성과물을 하나씩 꺼내 발표할 방침이다. 한국당의 경제담론인 ‘국민성장론’을 구체화한 ‘I노믹스’는 문재인 정부의 경제정책인 ‘J노믹스’와 대비되는 개념을 담을 것으로 알려졌다. 문재인 정부를 ‘국가주의’ 정부로 규정해 이에 반대되는 개인(Individual)을 주체로 내세우고 혁신(Innovation) 등의 개념을 강조한다는 것이다.


양지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