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LCD의 밝기는 고휘도 필름이 책임진다

고휘도 필름 국내특허 출원 10년간 2배 이상 증가

한국이 세계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액정디스플레이(LCD) TV 시장에서 ‘휘도 향상 필름 기술’의 특허출원이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특허청에 따르면 휘도향상 필름의 특허출원은 2008~2012년 65건에서 2013~2017년 102건으로 157%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휘도향상 필름 기술은 선명한 화면과 저소비 전략을 위한 핵심부품 기술이다. LCD TV에서 손실되는 빛을 재활용해 휘도(밝기)를 높이고, 소비 전력을 줄여준다.

현재 3M사의 이중휘도향상필름(DBEF)가 시장을 독점하고 있는 가운데 효성·웅진케미칼 등 국내 기업들이 대체 기술 개발에 나서면서 관련 특허 출원도 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출원인 유형을 보면 국내 기업이 66%로 가장 많고 일본(20%), 미국(10%), 국내 대학·연구소(4%) 등이 뒤를 이었다.

관련기사



휘도향상 필름을 작동 원리에 따라 구분해 보면 △편광된 빛의 반사를 이용한 기술 △표면 구조에서 빛의 굴절을 통해 집광 효과를 얻는 기술 △형광체를 사용해 빛의 파장을 변경하는 기술 등이 있다.

빛의 반사를 이용한 기술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빛의 굴절을 이용한 기술과 형광체 사용 기술은 대체 기술로 분류된다. 표면 구조에서 빛의 굴절을 이용한 기술은 출원이 감소한 반면 형광체 사용 기술은 최근 2년간 출원이 급증하고 있다.

형광체 사용 기술은 기존의 이중휘도향상필름(DBEF)을 대체하기 위해 LCD에 포함되는 기재필름 내에 빛의 파장을 변환시키는 형광체를 첨가해 휘도 및 색재현율을 향상시킨 것이 특징이다.

김용훈 특허청 전자부품심사팀장은 “휘도향상 필름 기술은 LCD 디스플레이에서 화면의 밝기를 좌우하는 것으로, 소비자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주요 기술 중 하나”라며 “우리 기업들이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세계 1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휘도향상 필름 기술에 대한 강한특허 확보 전략을 위해 더욱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서민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