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환자 자동 접수·진료 등 스마트 병원 구축"

한국기계연-한국원자력의학원 15일 MOU 체결

"자동 접수하고 대기 시간 줄이고 채혈-보관까지 원스톱 서비스"

김미숙(왼쪽) 한국원자력의학원장과 박천홍 한국기계연구원장이 15일 원자력의학원에서 스마트 병원 시스템 구축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협력을 다짐하고 있다. /사진=기계연구원.김미숙(왼쪽) 한국원자력의학원장과 박천홍 한국기계연구원장이 15일 원자력의학원에서 스마트 병원 시스템 구축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협력을 다짐하고 있다. /사진=기계연구원.



“환자가 병원에 오면 이전 진료기록을 확인해 자동으로 접수한다. 환자 돌봄 로봇을 통해 불필요한 대기시간 없이 진료를 받는다. 채혈부터 보관을 위한 냉장 장치 이동까지 원스톱 자동화가 이뤄진다.” 머지않은 장래에 현실화될 수 있는 스마트 병원의 모습이다.

한국기계연구원(원장 박천홍)과 한국원자력의학원(원장 김미숙)이 15일 서울 원자력의학원 본원에서 스마트 병원 시스템 구축과 첨단 의료기기 개발을 위해 협력키로 하고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스마트 병원을 구축하려면 진단과 검사에 필요한 시설을 최적화하는 자동화 솔루션을 비롯해 장비와 검체, 시약을 이송하기 위한 트랙 모듈 기술 등을 개발해야 한다. 지금은 병원 자동화가 사물인터넷(IoT)과 모바일 ICT(정보통신기술)에 초점을 맞춘 ‘디지털 병원’ 개념에 머물러 있다. 핵심 플랫폼 기술을 다국적 기업이 독과점하고 있어 국내 기업이 나서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관련기사



이에 따라 양측은 스마트 병원 플랫폼 기술과 시스템 개발에 나서 기계연 대구융합기술연구센터에 미래형 스마트 병원 플랫폼 테스트베드 시설을 구축하기로 했다. 스마트 병원 플랫폼이 구축되면 수작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예방할 수 있고 물류관리의 효율성도 커지게 된다.

현재 기계연은 진단 자동화 시스템, 원격 초음파 진단 로봇, 스마트 로봇 의족 등 의료기계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원자력의학원은 지난 7월부터 스마트 병원과 국가 바이오 헬스케어 R&D의 임상 실용 허브 구축에 나서고 있다.

박천홍 한국기계연구원장은 “스마트 병원 플랫폼 보급으로 정확하고 빠른 의료 서비스 혜택을 제공하도록 노력하겠다”, 김미숙 한국원자력의학원장은 “국민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스마트 병원 구축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각각 밝혔다. /고광본 선임기자 kbgo@sedaily.com

고광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