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국민 68%, 원전 유지·확대 지지…"에너지 기본계획에 반영해야"

국민의 68%가 원자력발전의 유지 또는 확대를 지지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사진은 본 기사와 무관./사진=이미지투데이국민의 68%가 원자력발전의 유지 또는 확대를 지지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사진은 본 기사와 무관./사진=이미지투데이



국민의 68%가 원자력발전의 유지 또는 확대를 지지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원자력계는 이런 의견이 에너지 기본기획에 반영될 수 있도록 공식적인 국민의사 확인 과정을 거쳐달라고 정부에 촉구했다.

한국원자력학회와 ‘에너지정책 합리화를 추구하는 교수협의회’(에교협)는 19일 오전 서울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런 내용의 ‘2018 원자력발전에 대한 국민인식 조사’(95% 신뢰수준에서 표본오차 ±3.1%포인트)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원자력학회 의뢰로 한국갤럽이 지난 8~9일 만19세 이상 1,006명을 대상으로 전화조사 방식을 통해 실시했다. 조사에서 향후 원자력발전의 비중에 대한 질문에 35.4%가 ‘늘려야 한다’고 답한 응답자는 35.4%, ‘유지해야 한다’는 32.5%였다. ‘줄여야 한다’고 답한 응답자는 28.5%였다.

원자력발전 이용에 대한 찬반에는 ‘찬성’ 69.5%, ‘반대’ 25%였다. 안전성에 대해서는 57.6%가 ‘안전하다’고 답했고, 36.8%는 ‘안전하지 않다’고 했다.


그러나 원자력발전의 장·단점에 관한 질문에서는 원자력에 대한 상반된 인식이 다수 보였 다.

관련기사



‘원자력의 발전단가는 상대적으로 저렴해 전기료를 낮추는 데 도움이 된다’는 데에 77.3%가 동의하고 18.0%가 동의하지 않았으나, ‘사고대비 및 폐로 등을 충분히 고려하면 다른 발전원보다 비싸질 수 있다’는 데에도 61.6%가 동의하고 28.6%가 동의하지 않았다.

또 ‘원자력발전은 미세먼지와 온실가스를 거의 배출하지 않는다’고 답한 응답자는 61.7%였으나, 78.3%는 ‘원자력발전소에서는 국민의 생명과 재산에 큰 위험을 끼치는 중대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는 데에 동의한 응답자도 78.3%에 달했다. 또 82.6%는 ‘원자력발전은 사용후핵연료 등 방사성 폐기물의 안전한 관리가 까다롭다’는 데 동의했다.

우리나라 전기생산에 가장 적합한 방식을 묻는 물음에서는 응답자의 43.5%가 태양광을 꼽았다. 이어 원자력 33.5%, 풍력 10.2%, 가스(LNG) 8.4%, 석탄 1.7% 등의 순이었다.

현 정부의 에너지 정책 전반에 대한 평가에서는 ‘못하고 있다’는 의견이 46.5%로 ‘잘하고 있다’(44.8%)는 의견보다 약간 우세했다.

김명현 원자력학회 회장은 “두 차례 실시한 독립적인 국민인식 조사에서 일관되게 국민 10명 가운데 7명이 원자력발전 이용을 지지하는 것으로 드러났다”며 “정부는 이런 의견이 3차 에너지 기본계획에 적절히 반영되도록 공식적인 국민 의사 확인 절차를 거쳐주길 요청한다”고 말했다. /홍나라인턴기자 kathy9481@sedaily.com

홍나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