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일감없는 중소 조선사에 LNG연료선 140척 발주…1조7,000억 금융지원

정부, 조선산업 활력제고 방안 발표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정 6개월 연장 추진




민관이 일감이 부족한 중소 조선사와 기자재업체를 대상으로 2025년까지 총 1조원 규모, 140척의 액화천연가스(LNG) 연료추진선을 발주한다. 조선업계에 닥친 보릿고개를 넘길 수 있도록 총 1조7,000억원 규모의 금융 지원도 이뤄진다. 미래 먹거리 확보를 위해 수소전기선박 등 친환경 선박과 자율운항선박 등 신기술 개발에 대한 투지 지원도 추진된다.

정부는 22일 국정현안조정점검회의에서 관계부처 합동으로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하는 ‘조선산업 활력제고 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방안의 핵심은 최근 대형 조선사의 수주 증가에도 어려움을 겪는 중소 조선사와 기자재업체에 일감과 금융을 제공하고, 중장기적으로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지원 대상도 기존 대책과 달리 중·대형 조선사보다 중소 조선사와 기자재 업체에 초점이 맞춰졌다.

정부는 우선 LNG 연료추진선 시장을 확대하기 위해 내년 2척을 발주해 시범사업을 진행하고 2025년까지 총 140척의 LNG연료추진선을 발주하기로 했다. 140척 중 40척은 공공발주이며, 나머지 100척은 민간발주다. 이를 통해 중소 조선사에 1조원 규모의 새 시장이 열릴 것으로 정부는 기대하고 있다. 지난해 국내 78개 중소 조선사의 총매출이 6,012억원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시장 규모가 크게 확대될 수 있다. 민관은 또 LNG연료추진선 운영에 필요한 연료공급(벙커링) 인프라 구축에도 2025년까지 2조8,00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금융지원도 강화된다.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조선업계에 7,000억원의 신규 금융과 1조원 규모의 만기연장을 지원하기로 했다. 일감을 수주했는데도 자금이 부족한 기자재업체 등에 3,000억원의 제작금융을 지원한다. 중견 조선사 지원을 위해 70억원 이상 중형선박에도 선수환급보증(RG) 프로그램 1,000억원을 지원한다. 기존 70억원 미만 소형 선박 지원 1,000억원과 합치면 총 2,000억원 규모다. 방산 분야 보증제도 개선을 통해 조선 방산업체에 3,000억원 규모의 제작금융을 공급한다. 이번 금융지원은 현대중공업·삼성중공업·대우조선해양 등 대형 3사와 부산, 울산, 전북, 전남, 경남 등 지방자치단체, 정부의 공동 출연으로 마련됐다. 정부가 1,000억원, 지자체와 대형 3사가 115억원을 출연했다.

관련기사



산업위기대응지역 내 기자재업체의 약 1조원 규모의 대출과 보증에 대한 만기도 내년 말까지 1년 연장한다. 올해 말 끝날 예정인 조선업에 대한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정은 내년 6월까지 연장을 추진한다.

조선업 고용 회복을 위해서는 채용설명회와 전문인력 양성을 추진하고, 기업이 신규 채용하면 장려금을 지원한다. 중장기 경쟁력 강화를 위해 수소전기선박 개발에 6,000억원, 자율운항선박 기자재와 시스템 개발, 실증 등에 5,000억원,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스마트공장을 조선소에 도입하는 ‘스마트 K야드 프로젝트’에 4,000억원도 투입된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우리 조선산업은 연말까지 약 1천200만CGT를 수주해 2014년 수주실적에 근접할 전망이며 2018년 수주물량이 건조에 투입되는 내년 하반기 이후 본격적인 회복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세종=강광우기자 pressk@sedaily.com

강광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