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자율주행차·BT 뜨고 드론 진다"...4차 산업혁명 산업도 구조조정

현대연 '2019년 산업경기' 전망

인구감소로 로봇·정보기술 각광

소매·건설·농림어업은 타격

내년에는 신성장 동력으로 주목받는 산업분야 가운데 자율주행차와 바이오테크놀로지(BT)가 인기를 끌고 드론과 증강현실(AR) 등은 다소 시들해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신성장 산업 가운데서도 산업화 가능성에 따라 일부 구조조정이 일어날 것이라는 전망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은 25일 ‘2019년 산업경기의 10대 특징과 시사점’이라는 보고서에서 내년 산업경기 특징 중 하나로 4차 산업혁명의 구조조정을 내세웠다.


연구원은 고령화, 의료비 지출 증가 추세에 따라 바이오 기술의 산업화 속도가 빨라지고 자율주행차도 상업적 시장이 형성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내년 경기가 하강 국면을 맞겠지만 최저임금 인상과 탄력근로제 시행에 따라 스마트팩토리 등 공정 자동화와 온라인 뱅킹·무인편의점 등 서비스업의 무인 시스템화도 확산될 것으로 전망했다.

관련기사



반면, 드론은 추가적 수요 확장 유인 미비, 증강현실은 콘텐츠 부족으로 산업화 속도가 느려지고 딥러닝과 블록체인 산업화에 대한 부정적인 전망도 확산되고 있다고 소개했다. 문재인 정부가 혁신성장 동력의 하나로 꼽은 수소차의 경우에도 당장 산업화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진단했다.

연구원은 또 내년부터 생산가능인구(15∼64세) 감소로 경제 성장률이 낮아지는 ‘인구 오너스’ 시대가 본격화하면서 로봇산업, 정보기술(IT) 산업이 뜨고 농림어업, 오프라인 소매업, 건설업 등은 타격받을 것으로 내다봤다.

우리 주력산업에 대해서는 반도체를 제외한 대부분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이 떨어지면서 정부·산업계가 산업 구조 재편, 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구체적인 조치에 나설 것으로 예측했다. 이 밖에 연구원은 △지속가능 에너지 기술 발전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의 기회와 위험 △한류 산업의 비상 등을 내년 산업경기 10대 특징으로 꼽았다. 현대연은 “내년 대부분의 산업은 도약과 추락의 갈림길에 직면할 것”이라며 “정부는 경기 하방 리스크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면서 경쟁력 제고를 위한 혁신, 새로운 시장 발굴 노력도 병행해야 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김능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