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중소기업 매출전망 '우울'…74% "작년과 비슷하거나 감소"

전경련중기센터 조사…대기업은 83%가 매출 늘거나 비슷할 것으로 예상

전경련회관 사진이다./연합뉴스전경련회관 사진이다./연합뉴스



국내외 소비 수요 감소와 글로벌 경기 위축 등으로 국내 중소·중견기업 10곳 중 7곳은 올해 매출이 작년과 비슷하거나 감소할 것으로 본다고 조사됐다. 반면 대기업은 10곳 중 8곳이 매출이 작년과 비슷하거나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중소기업협력센터는 국내 대·중견·중소기업 362곳을 상대로 ‘2018 국내 기업의 경영 환경 및 정책 과제’ 조사를 벌인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6일 밝혔다. 조사 결과 중소·중견기업의 10.9%는 올해 매출이 크게(30% 이상) 감소할 것으로, 34.2%는 매출이 다소(10∼30%)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28.9%는 작년과 비슷(10% 내외 증감)할 것으로 봤다. 중소·중견기업 중 74.0%가 올해 매출이 작년과 비슷하거나 줄어들 것으로 예견한 것이다. 매출이 다소 늘어난다는 곳은 20.4%, 매출이 크게 늘어난다는 곳은 5.6%에 불과했다.

대기업의 경우 매출이 크게 줄어든다고 예상한 곳은 한 곳도 없었고, 17.4%는 다소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가장 많은 47.8%는 비슷할 것으로 봤고, 21.7%는 매출이 다소 늘어날 것으로, 13.0%는 매출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추산했다.


전체적으로 82.5%가 작년보다 매출이 늘거나 비슷할 것으로 내다봤다. 매출이 비슷하거나 줄어든다고 답한 경우 대기업과 중견·중소기업은 모두 가장 큰 원인으로 ‘국내외 소비 수요 감소’를 들었다.

관련기사



국내 기업들은 경영 위협요인으로 ‘민간 소비 여력 감소로 인한 내수 부진’(26.0%)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 또 ‘경영 활동에 불합리한 법률과 제도’(21.0%), ‘미·중 무역분쟁 심화로 인한 글로벌 경기 위축’(20.4%) 도 뒤를 이었다.

2019년의 중점 경영전략으로 국내 기업의 82.9%는 신(新)성장동력 창출을 위해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답했고, 나머지 17.1%는 기업 내실화에 힘쓰겠다고 언급했다. 신성장동력 창출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보면 ‘국내외 마케팅 등 신규 판로 개척’(48.2%), ‘기술 혁신, 신제품 개발 등 기업 자생력 제고’(22.7%), ‘역량과 전문성을 갖춘 창의적인 우수인력 확보’(8.0%), ‘유망 신사업 투자 확대’(3.9%) 순이었다.

정부와 기업 지원기관의 최우선 정책 과제로 대기업은 정책금융 확대, 법인세 인하 등 ‘금융·조세 지원정책’(47.8%)을, 중소·중견기업은 최저임금, 연구인력 인건비 보조, 고용유지 지원금 등 ‘인건비 보조지원금 확대(50.4%)를 꼽았다.

배명한 전경련중기센터 소장은 “내년 국내 기업들의 경영 키워드가 ’신성장동력 창출‘인 만큼, 기업 활력 제고를 위한 규제 완화와 선별적이고 실효성 있는 정책 지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서영인턴기자 shyung@sedaily.com

이서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