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GM, 1만5,000명 구조조정…북미 5개·해외 2개 공장 생산중단

60억弗 비용 절감·자율주행차·전기차 강화

미국 자동차업체 제너럴모터스(GM)가 북미 사업장에서 총 1만4,700명의 인력감축과 5개 공장 가동 중단 등 대규모 구조조정에 나선다고 26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사진은 오하이오주 로즈타운의 GM공장. /AFP연합뉴스미국 자동차업체 제너럴모터스(GM)가 북미 사업장에서 총 1만4,700명의 인력감축과 5개 공장 가동 중단 등 대규모 구조조정에 나선다고 26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사진은 오하이오주 로즈타운의 GM공장. /AFP연합뉴스



미국 자동차업체 제너럴모터스(GM)가 북미 사업장에서 인력감축과 공장 폐쇄 등 대규모 구조조정에 나선다. GM은 북미 5곳과 해외 2곳 등 7곳의 공장을 가동 중단하고 북미에서 1만여명의 인력을 감축하는 구조조정을 통해 내년 말까지 약 60억달러(약 6조7,740억원)의 비용을 절감하는 한편 자율주행차와 전기차에 대한 투자를 늘리겠다고 26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번 구조조정은 글로벌 금융위기에 따른 2009년 GM 파산 위기 이후 최대 규모다.

AP통신 등에 따르면 GM은 북미지역에서 최대 1만4,000명을 감원하기로 했다. 감원 인력에는 사무직 약 8,000명과 미국과 캐나다 공장에서 일하는 생산직 근로자 3,300명과 2,600명이 각각 포함됐다. 다만 이들 생산직 근로자들 가운데 일부는 다른 공장으로 배치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GM은 간부급에서도 25%를 감원할 방침이다. AP통신은 1만4,000명 감원은 GM의 글로벌 인력 18만명의 약 8%에 해당한다고 전했으며, 로이터통신은 감원 규모가 1만5,000명에 달한다고 보도했다.


또 GM은 내년 이후 미국에서 판매가 중단될 자동차를 생산하는 5개 공장의 가동을 중단하거나 다른 차종으로 전환할 가능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가동중단 또는 임무 전환 공장에는 디트로이트 햄트램크와 오하이오의 로즈 타운, 캐나다 온타리오의 오샤와 조립공장, 미시간 워런과 메릴랜드 볼티모어의 변속기 공장이 포함됐다. GM은 이들 3곳의 조립공장에서 생산해온 차량 가운데 쉐보레 크루즈와 캐딜락 CT6, 뷰익 라크로스 등의 생산도 중단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GM은 또 한국GM 군산공장을 폐쇄한데 이어 북미지역 외의 다른 2개의 해외공장에 대해 내년 말까지 가동을 멈출 것이라고 밝혔다고 AP통신은 보도했다. 메리 배라 GM 최고경영자(CEO)는 기자들에게 “자동차 산업은 전기차나 자율주행차 등으로 급격히 변화하고 있고 GM은 그것에 적응해야 한다”면서 이번 구조조정이 경기 하강을 우려한 조치가 아니라 GM은 물론 미국 경제가 강세인 상황에서 선제적으로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행동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배라 CEO는 미중 관세전쟁으로 도전에 직면한 상황이지만 구조조정과 미중 관세전쟁이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니라고 말했다. 배라 CEO는 인력감축은 내연기관을 가진 기존 전통차량 부문에 종사하는 인력들임을 강조하고, 이런 인력감축에도 불구하고 소프트웨어나 전기, 자율주행차 관련 전문가들을 여전히 채용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AP통신에 따르면 GM의 구조조정은 북미 자동차 시장이 겪고 있는 변화를 반영한다. 지난 10월 미국에서 판매된 차량 가운데 65%가 트럭이나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이었다는 것이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GM 주가는 전날보다 4.79% 상승했지만 GM의 구조조정 계획에는 반발이 잇따랐다. 전미자동차노조(UAW)는 “GM의 공장 가동중단 결정은 근로자 수천 명의 일손을 놓게 할 것”이라면서 “모든 법적 조치와 단체 교섭권 등을 통해 맞설 것”이라고 말했다.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도 실망을 표하고 감원시 해당 근로자들에 대한 지원을 약속했다. 트뤼도 총리는 전날 배라 GM CEO에게 공장 폐쇄 계획에 대해 깊은 실망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다원인턴기자 dwlee618@sedaily.com

이다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