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정책

"코스콤, 내년 데이터 보관·분석 플랫폼 가동"

정지석 사장 취임 1주년 간담서

AI 자산관리 서비스 청사진 밝혀




정지석(사진) 코스콤 사장이 “내년 중 데이터 보관·분석 플랫폼인 ‘데이터 오피스’를 시작할 계획”이라고 27일 밝혔다.

정 사장은 이날 낮 서울 여의도에서 취임 1주년을 맞아 가진 기자 간담회에서 “빅데이터와 개방형 정보제공 서비스(오픈 API) 등 지금까지 축적된 콘텐츠와 기술을 활용해 코스콤을 데이터 기반 기업으로 만들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코스콤은 한국거래소의 자회사로 증권 업무의 전산화와 관련 시스템 개발 등을 맡는 정보기술(IT) 기업이다. 데이터 오피스는 홈트레이딩서비스(HTS)나 모바일트레이딩서비스(MTS) 등에서 수집한 거래 내역과 시장 정보, 고객 자산 통합 정보(마이데이터) 등의 데이터를 원형 그대로 통합·보관하고 인공지능(AI)을 활용해 고객의 자산관리를 가능하게 해주는 서비스다. 정 사장은 “이 서비스가 정착되면 다양한 데이터를 통한 고객 맞춤형 금융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질 것”이라며 “초기 시장 규모는 약 300억원으로 추산된다”고 설명했다. 데이터 오피스로 고객 유치 및 계좌 개설 단계부터 투자활동 전체 과정을 기록하고 분석하면 고객의 동의 아래 ‘투자 여정(investment journey)’을 관리할 수 있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관련기사



정 사장은 또 기존의 오픈 API에 데이터를 강화해 효율적인 데이터 이용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코스콤이 제공하는 오픈 API에 가입한 스타트업은 281곳으로 이 중 74개의 핀테크 업체와 구체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협의하고 있다. 정 사장은 “오픈 API 강화로 핀테크가 활성화하면 자문사나 사모펀드 같은 소규모 금융투자회사가 다양한 서비스를 받아 기존 업체와 경쟁할 수 있는 선순환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한편 정 사장은 지난 24일 발생한 KT의 서울 아현지사 통신구 화재와 관련해 “코스콤의 회선 4,000여개 중 119개 정도가 영향을 받았으나 복구 작업을 벌여 다행히 26일 월요일 장에는 영향이 없었다”고 말했다.

조양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