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골드만삭스 "G20 기점으로 원자재 값 몇 달간 17% 오를 수도"

정치 불확실성 해소가 영향 미칠 수도

미-중 무역협상, 트럼프-산유국 간 유가 논의도 기대

블룸버그블룸버그



최근 전반적인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원자재 가격이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급반등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미·중 무역협상 등 여러 정치적 불확실성이 해소될 수도 있다는 기대감이 작용한 탓이다.


26일(현지시간) CNBC, 블룸버그 통신 등에 따르면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보고서에서 원자재 가격이 향후 몇 개월 동안 17% 정도 상승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골드만삭스는 오는 30일부터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열리는 G20 정상회의가 이런 우려를 일정 부분 해소할 계기가 될 것으로 풀이했다.

관련기사



현재 원자재 가격은 여러 요인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원유는 공급 과잉 우려로 하락했고 금속들은 글로벌 성장 둔화 우려로 압박을 받았다. 투자자들은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 전망에 불안감을 나타냈다. 골드만삭스는 G20 정상회의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에 무역 갈등을 해소할 기회를 제공해줄 것으로 예상한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도 이번 G20 회담 기간 중 원유 생산에 대한 의견을 조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골드만삭스는 “원자재 시장을 짓누르는 정치적 불확실성의 많은 부분을 해소할 중대한 기회가 왔다”고 분석했다. 특히 G20이 국제유가와 관련한 전환점이 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가 미국을 상대로 국제유가 정책을 깊이 있게 논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제프리 커리 골드만삭스 상품 부문 글로벌 총괄은 “유가(서부텍사스산원유 가격)가 배럴당 50달러가 되면 미국 석유산업의 비용 구조를 건드리게 된다”며 “50달러 밑으로 가면 고수익률 채권에도 문제가 생기고 이게 퍼지면 원자재 시장을 넘어 신용대출 시장의 문제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국제유가는 지난주 미국 증시 부진과 트럼프 대통령의 감산 억제 발언 등의 영향으로 10% 넘게 하락했다. 브렌트유는 지난 2월 이후 처음으로 배럴당 60 달러 아래로 떨어져 58.8 달러까지 밀렸다.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배럴당 50.42 달러까지 하락해 지난해 8월 이후 처음으로 50 달러 붕괴 직전까지 갔다. 이날 유가는 G20 등 국제회의에서 긍정적인 결과가 나올 수 있다는 심리가 작용하면서 반등했다.

김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