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코레일, '오송역 사고' 미흡한 대응으로 혼란 키워

문제 제대로 인지못해…복구 예정시각 등 정보 미흡

"일부 승객만 하차·구호물품 배급도 엉망" 불만 높아

홈피·대합실 등 고객 안내도 미흡…코레일 "개선할것"

코레일이 지난 20일 ‘오송역 단전사고’ 당시 상황 전달과 승객 안내, 구호 조치 등에서 미숙하게 대처해 혼란을 가중시킨 것으로 드러났다. 사진은 사고 후 재래선 기관차가 사고 열차를 견인, 선로를 바꿔 오송역으로 들어오고 있는 모습./연합뉴스코레일이 지난 20일 ‘오송역 단전사고’ 당시 상황 전달과 승객 안내, 구호 조치 등에서 미숙하게 대처해 혼란을 가중시킨 것으로 드러났다. 사진은 사고 후 재래선 기관차가 사고 열차를 견인, 선로를 바꿔 오송역으로 들어오고 있는 모습./연합뉴스



코레일이 지난 20일 ‘오송역 단전사고’ 당시 상황 전달과 승객 안내, 구호 조치 등에서 미숙한 대처로 혼란을 가중시킨 것으로 드러났다.

코레일이 29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에 제출한 ‘오송역 단전사고 관련 개선방안 보고’ 문건에는 이 같은 상황이 고스란히 담겼다. 사고 직후 코레일은 끊어진 절연 조가선만 복구하면 상황이 정상화될 것이라고 성급한 판단을 내려 초기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했다. 조가선은 전차선을 같은 높이로 수평하게 유지하도록 지탱해주는 전선이다. 코레일은 당시 운행 중이던 KTX열차의 전기공급장치인 ‘팬터그래프’와 늘어진 절연 조가선이 접촉되며 단전이 발생했다고 국회에 보고했다.


사고 초기 조가선 문제는 파악했지만, 팬터그래프에 문제가 생겼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해 정보전달에 혼선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 때문에 당시 상황이나 복구 예정시각, 출발 예정시각 등 정확한 정보를 알리지 못해 승객들의 불안감이 고조됐다고 코레일은 설명했다.

관련기사



사후 구호 조치 또한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사고 지점에서 KTX 열차에 타고 있던 일부 승객만 하차시키는 등 일관된 대응을 하지 못했고, 구호물품 배급도 원활히 이뤄지지 않아 승객들의 불만을 키웠다. 사고 1시간여 뒤에는 KTX 열차에 타고 있던 승객 중 3명이 호흡곤란을 일으켜 오송역 부역장 등 직원이 현장으로 출동해 우선 구호 조치한 사실도 드러났다.

열차 지연에 따른 고객 안내와 보상 과정에서도 문제가 있었다. 사고나 가면 여객상황반에서 역·고객센터 단말기와 승무원 휴대폰으로 사고 발생내역과 고객안내 참고사항 등을 전송해야 하지만, 당시에는 매표직원에게 단말기 공지사항으로 상황을 전송해 대합실 등에 있는 안내직원에게 정보가 즉각 공유되지 못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당시 오송역뿐 아니라 전국의 코레일 이용자들에게 사고 여파가 미칠 수 있다는 점이 충분히 예상됐지만, 코레일 홈페이지와 스마트폰 코레일톡, 열차 내 영상장치에 이런 안내도 미흡했다. 보상·환불도 1시간 이상 지연됐으며 열차 탑승 전인 예약 승객에 대한 지연, 지연 보상금 수령방법, 환불조치 등 안내 조치도 허술했다. 오영식 코레일 사장은 이날 오송역 사고 당시 이런 문제가 있었다고 보고하면서, 개선방안을 마련해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홍나라인턴기자 kathy9481@sedaily.com

홍나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