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낙지 맨손어법·재첩 손틀어업, 국가중요어업유산 지정





전남 무안·신안의 갯벌낙지 맨손어업과 경남 하동·전남 광양의 섬진강 재첩잡이 손틀어업이 국가중요어업유산으로 지정됐다./사진=해양수산부 제공전남 무안·신안의 갯벌낙지 맨손어업과 경남 하동·전남 광양의 섬진강 재첩잡이 손틀어업이 국가중요어업유산으로 지정됐다./사진=해양수산부 제공


전남 무안·신안의 갯벌낙지 맨손어업과 경남 하동·전남 광양의 섬진강 재첩잡이 손틀 어업이 국가중요어업유산으로 지정됐다.

해양수산부는 30일 고유의 유·무형 어업자산을 보전하기 위해 2015년부터 지정ㆍ관리해온 국가중요어업유산에 이들 두 가지 전통 어법을 추가했다.


지정된 어업에는 3년간 어업유산 복원과 계승을 위한 예산이 지원된다. 지금까지 제주 해녀어업, 보성 뻘배어업, 남해 죽방렴어업, 신안 천일염업, 완도 지주식 김 양식어업 등 5가지가 국가중요어업유산으로 지정됐다.

관련기사



무안·신안의 갯벌낙지 맨손어업은 남성은 전용 삽으로, 여성은 맨손으로 갯벌에 서식하는 낙지를 채취하는 전통 어법이다. 하동ㆍ광양의 섬진강 재첩잡이 손틀어업은 ‘거랭이’라는 손틀 도구를 이용해 재첩을 채취하는 방법이다.

해수부는 이번 지정이 지역 고유의 브랜드 가치 향상, 주민소득 증대, 관광객 증가 등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기를 기대하고 있다. 해수부 관계자는 “앞으로도 우리 어촌에 계승되는 유·무형 어업 자산을 적극적으로 발굴해 체계적으로 보존·관리하고, 국가중요어업유산의 가치와 보존 필요성을 널리 알리겠다”고 말했다.
/권혁준인턴기자 hj7790@sedaily.com

권혁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