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에이비엘바이오, 신약후보물질 6억달러 규모 기술수출

美 바이오 기업 트리거에

항암제·안구치료제로 개발

국내 바이오 기업 에이비엘바이오가 이중항체 신약후보물질 NOV-1501(ABL001)을 총 5억9,500만 달러(한화 6,660억원)에 미국 기업에 기술수출했다.

30일 국립암센터 국가항암신약개발사업단에 따르면 에이비엘바이오는 이 신약후보물질을 미국 바이오 기업 트리거세라퓨틱스(TRIGR Therapeutics)에 기술수출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기술수출액에는 계약금 500만달러(56억원)가 포함돼 있다.

트리거 측은 이 계약으로 이 신약후보물질의 항암제(한국 제외)·안구치료제(한국·일본 제외) 적응증에 대한 세계 전용실시권을 확보했다.


NOV-1501은 에이비엘바이오가 자체 이중항체 기반 기술로 개발한 신약후보물질(ABL001)이다. 암세포 증식에 필요한 새 혈관 형성에 관여하는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VEGF)와 델타유사 리간드4(DLL4)를 동시에 표적으로 삼아 암조직 내 혈관 형성·관류를 억제하고 항종양 작용도 한다.

관련기사



이중항체는 항체 1개로 두 표적 단백질을 잡는 기술이다. 각각의 단독 표적에 결합하는 개별 항체보다 항암 효능이 우수하고 각기 다른 두 가지 항체약물을 처방하는 것보다 비용·약물투여 부담이 적은 장점이 있다. 추가적인 항암 칵테일 요법 및 면역항암요법 적용도 보다 수월해진다.

NOV-1501은 현재 삼성서울병원 등에서 임상 1a상 시험이 진행되고 있다. 이상훈 에이비엘바이오 대표는 “국가항암신약개발사업단의 지원으로 NOV-1501의 임상 1a상 시험을 진행 중이며 기술수출 계약도 성사시킬 수 있었다”고 말했다.

국가항암신약개발사업은 산학연이 보유한 우수 항암 신약후보물질을 비임상·임상 단계까지 개발해 글로벌 기술이전 성과를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오는 2021년까지 4년간 623억원을 투자해 총 15개 후보물질에 대한 비임상·임상시험을 지원할 계획이다. 사업단은 보건복지부 지원으로 2011~2016년 진행된 ‘시스템통합적 항암신약개발사업’의 2기 사업으로, 지난해 5월 출범했다.


임웅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