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환경공포에 멈춰 선 기간시설] 신재생 환경파괴엔 눈감은 환경단체

태양광 난립, 환경훼손 우려 불구

환경단체 재생에너지 사업 관심

보조금 등 고려 '큰 목소리' 안내

지난 2017년 우태희 전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은 서울 종로구 환경운동연합 사무실을 찾았다. 석탄화력발전소인 당진에코파워 1·2호기의 건설을 반대하며 장관 사퇴까지 요구하는 환경단체를 설득한다는 차원에서다. 이후 저감시설 구축을 통해 미세먼지 발생 우려를 줄이겠다는 설득이 계속됐지만 결국 정권이 바뀌고 문재인 정부에서는 환경단체의 손을 들어 당진에코파워의 액화천연가스(LNG)발전소로의 전환을 결정했다. 환경단체의 힘을 보여주는 사례 중 하나다.


환경 문제라면 장관 사퇴는 물론 공익감사 청구까지 주장하던 환경단체가 유독 태양광 난립에 따른 환경 훼손 문제에 대해서는 마이크 볼륨을 줄이고 있다. “환경적인 우려, 경관, 공동체 훼손 등 이런 부분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기 때문에 환경영향 평가라든지, 개발제한 규정이라든지 이런 부분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이 사실상 전부다.

관련기사



태양광발전에 따른 환경 훼손 문제에 환경단체가 외면하고 있는 것은 태양광발전이 환경단체의 ‘전유물’이었기 때문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올해 국정감사에서는 노동운동이나 환경운동 출신 인사들이 설립한 태양광발전협동조합 3곳이 지난해 전국 48개 업체에 지원된 국고 예산 중 43%를 차지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물론 환경단체가 아예 눈을 감은 것은 아니다. 충남환경운동연합은 태양광발전시설 건립반대주민모임과 함께 “대규모 상업용 태양광 시장의 개발 수요를 분석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다만 이들은 “지역민들의 자발적 참여를 통한 주민주도형 태양광발전 사업은 확대돼야 한다”고 밝혔다. 정부가 목표로 제시한 오는 2030년까지 20%의 재생에너지 발전 비율을 지지하면서도 대규모 태양광발전 단지에는 반발하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대규모 발전시설이 들어온다면 조합 등이 정부에서 받는 보조금 등이 줄어들기 때문 아니겠느냐”고 지적하고 있다. 실제 환경단체 등으로 구성된 협동조합은 한국전력공사와 발전사들이 설립한 한전 SPC가 학교 태양광발전기 설치 사업에 뛰어들자 “한전이 민간 영역을 침범해서 되겠느냐”고 주장했다. 결국 사업 우선권은 한전 SPC에서 협동조합으로 넘어갔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환경단체 등은 태양광학교 등을 운영하며 오래전부터 태양광 사업에 관심을 보여왔다”며 “그렇기 때문에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발전의 환경 훼손 문제에는 목소리를 크게 내기 어려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세종=박형윤기자 manis@sedaily.com

박형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