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유치원법 여야 案 논의 시작됐지만…'회계 구분' 두고 입장차

양당案 비교심사...연내 통과 힘들듯

與 "한국당 안, 교육비 맘껏 쓰자는것"

한유총은 교육부에 협의 개시 제안

사립유치원 사태 해결을 위한 국회의 입법 논의가 본격 착수됐지만 여야의 입장 차를 좁히는 데는 실패했다. ‘회계 투명성 강화’라는 대원칙에는 의견이 같았지만 세부 방식에 대한 의견 차이가 커 ‘유치원 3법’이 연내에 통과되기는 힘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국회 교육위원회는 3일 국회에서 법안심사소위를 열고 유치원 3법(유아교육법·사립학교법·학교급식법 개정안) 논의에 착수했다. 이날 논의에서는 기존 여당의 ‘유치원 3법’에 대응해 자유한국당이 낸 대체법안을 중심으로 여야가 격돌했다. 한국당 안은 누리과정 지원금과 국고보조금 등을 국가지원회계로, 유치원 원비를 포함한 학부모 부담금을 일반회계로 나눠 관리하는 내용이 핵심이다. 둘 다 교비 목적으로 사용해야 한다는 점에서는 같지만 일반회계의 경우 감시는 하되 처벌조항이 없다는 점이 다르다.

관련기사



여당 의원들은 한국당 안을 두고 ‘학부모 부담금을 마음대로 쓸 수 있도록 길을 열어주자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국가지원회계와 달리 교비로 써야 할 학부모 부담금은 처벌조항이 없다”며 “한국당 의원들이 ‘교육비를 맘대로 써도 되는 법안을 만들어주자’는 것이라면 납득할 수 없다”고 반발했다. 반면 전희경 한국당 의원은 “사립유치원의 운영 자율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학부모 부담금은 자율체계 내에 두는 것이 합리적”이라며 “임의로 사용하지 못하도록 학부모 운영위원회의 자문을 받고 에듀파인을 통해 공개도 하도록 돼 있다”고 반박했다. 소위에 출석한 박백범 교육부 차관은 “유치원 회계를 구분하는 안은 실익이 없다”며 한국당 안에 대해 반대 입장을 밝혔다.

양당의 자체 안을 처음으로 비교한 여야는 이날 서로 간의 입장 차를 확인하는 데 그쳤다. 당분간 서로 여론을 주시하면서 샅바싸움을 하게 되면 연내 처리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한편 사립유치원 이익단체인 한국유치원총연합회는 이날 ‘유아교육 혁신추진단’을 출범하고 교육부에 사태 해결을 위한 협상을 진행하자고 제안했다.

진동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