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골목 단위로 확대

5명 안건 발의하면 '골목회의'

"주민 힘 빌려 자치 실현할 것"

서울시의 ‘찾아가는 동주민센터’(찾동)이 주민 참여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확대 시행된다. 공공이 지역의 일거수일투족을 모두 관리하기는 한계가 따르는 만큼 주민의 힘을 빌려 자치를 실현하겠다는 것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3일 ‘찾동 2.0’으로 불리는 ‘민선 7기 찾동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계획의 큰 줄기는 크게 △지역문제에 대한 주민 결정권 강화 △지역 사회보장체계 강화 △통합적 운영체계 구축 △사업 추진기반 강화로 구성된다. 주차·안전 등 골목 단위 주민 생활문제 전반을 다룰 ‘골목회의’를 열 수 있게 된다. 지역주민 5명이 동 주민센터 홈페이지에 접속해 안건을 발의하면 동주민센터와 함께 문제를 풀 수 있다. 동 사업의 예산 권한을 가질 ‘서울형 주민자치회’는 오는 2022년 424개 전 동에 도입된다.

관련기사



지역 보장체계 강화는 돌봄SOS센터 개설과 긴급복지 예산 확대가 핵심이다. 돌봄SOS센터는 사회복지공무원과 간호직공무원이 돌봄매니저로 배치돼 신청 72시간 내 맞춤형 돌봄 서비스를 제공한다. 시는 내년 시범사업을 시작해 2022년 전체 동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갑작스러운 위기로 생계유지가 곤란한 가구를 지원하는 서울형 긴급복지 예산도 내년 100억원에서 2022년 250억원으로 매년 50억원씩 증액 편성한다. 긴급복지 지원 대상도 현재 의료비 기준 중위소득 85% 이하에서 90% 이하로 확대하고, 가구원 수와 상관없이 지원할 방침이다.

사업의 사각지대가 없도록 찾동의 모든 사업은 시 내부부서와 산하기관은 물론 자치구·경찰청·교육청·소방서 등과 연계를 강화해 통합적 운영체계로 운영된다. 서울시는 주민참여 사업을 확대해 이익이 지역사회에서 선순환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예를 들어 청소년 직업체험교육을 동네 소상공인 상점에서 진행하는 방식 등이다.


변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