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종목·투자전략

[SENTV] 바이오케스트, 면역항암제 차세대 기술 확보... 내년 1차임상 신청

바이오제네틱스의 자회사가 CAR-T세포 치료제 기업과 기술이전 독점계약을 체결하며 면역항암치료제 차세대기술을 확보했다.

바이오제네틱스는 100% 지분 투자로 설립된 R&BD 기업 바이오케스트가 CAR-T세포 치료제 전문기업인 프리진(Pregene)과 ‘다발성 골수종 CAR-T세포 치료제 기술이전 독점계약’을 체결했다고 4일 밝혔다. 이 기술은 항암 타켓팅 수율을 향상시키는 Nano-Antibody CAR-T의 플랫폼 기술로 중국내에서 성공적으로 비임상 시험을 완료하고 임상 시험 신청해 내년초 1상 임상에 돌입할 계획이다.

이번 계약으로 바이오케스트는 프리진의 다발성골수종 CAR-T 치료의 원천 특허 및 기술을 이전 받고 난치 혈액암인 ‘다발성골수종’ 치료제 개발에 나선다. 아직 국내에서는 다발성골수종을 대상으로 한 CAR-T 치료제의 임상 개발은 전무한 상태이다. 더불어 바이오케스트는 중국을 제외한 글로벌 라이센스 아웃 권리도 확보한다. 기술이전 후 국제가이드라인 기준에 맞춰 단독 개발에 착수하고 글로벌 시장에 라이센스 아웃 한다는 목표다.


새로운 면역 항암 치료제로 떠오르는 CAR-T(chimeric antigen receptor T cells)는 환자의 면역세포를 꺼내 활성화 증식 또는 유전자 재조합해서 암세포와 특이적으로 싸울 수 있도록 조작 후 다시 넣어주는 ‘살아있는 약’으로 알려져 있다. 기존의 1세대 화학항암제의 단점인 각종 부작용과 2세대 표적항암제의 단점인 내성을 개선해 장기간 효과 지속 및 낮은 부작용 등을 특징으로 알려져 향후 다양한 암 치료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관련기사



다발성골수종은 대표적인 고령화 사회의 악성 질환으로 발병률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고 치료가 어려워 재발률이 높다. 다른 암에 비해 생존율이 높지 않아 효과적인 치료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상황에서 바이오케스트는 이번 Nano-Antibody CAR-T 기술이전 및 개발을 통해 다발성골수종 질환을 정복하기를 기대하고 있다.

안주훈 바이오제네틱스 대표는 “검증된 기술을 도입한 만큼 국내에서 추가적인 비임상 시험을 신속하게 완료하고 식약처에 임상 1상 임상시험계획서를 제출할 것”이라며 “CAR-T세포 치료제 분야의 석학들과 자문계약을 추진해 국내 연구활성화를 기대하고 다양한 산학연과 조화롭게 협업을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

안 대표는 “바이오제네틱스와 바이오케스트가 바이오시장에서 동반 성장할 수 있는 전략적 행보를 이어갈 것” 이라며 “추진중인 프로젝트들이 성공적으로 마무리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다양한 난치성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차세대 항암치료제 개발에 노력해 많은 사람들에게 희망을 주는 기업이 되겠다”고 덧붙였다.

양한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