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SKT, 5G 디바이스 테스트랩 개소...5G기기 1만번 이상 테스트

SK텔레콤 연구원들이 5G 디바이스 테스트랩에서 계측 장비로 5G 디바이스를 테스트하고 있다./사진제공=SK텔레콤SK텔레콤 연구원들이 5G 디바이스 테스트랩에서 계측 장비로 5G 디바이스를 테스트하고 있다./사진제공=SK텔레콤



SK텔레콤이 5G단말기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한 ‘5G 디바이스 테스트 랩(Device Test Lab’을 경기도 성남시 분당사옥에 개소했다고 4일 밝혔다. 5G 디바이스 테스트 랩은 300㎡규모로 계측장비·실험실·회의실 등을 갖추고 전문인력이 상주하는 테스트 베드이다. 실험실 안에는 5G 기지국, 중계기와 전파를 테스트할 수 있는 계측기, 전자파 측정 기기 등이 두루 갖춰져 있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스마트폰뿐 아니라 차량용 텔레매틱스, 사물인터넷(IoT)기기, 산업용 동글 등 5G 단말기들이 증가하고 있어 까다로운 테스트를 통해 최고의 통신 품질을 확보하기 위한 테스트 랩을 신설하게 됐다”며 “테스트베드가 25cm두께의 강판으로 된 전파 차폐벽으로 둘러싸여 있어 외부 주파수 신호를 완벽히 차단해 정확한 테스트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SK텔레콤과 단말 제조사는 5G 단말기를 출시하기까지 이곳에서 주파수 적합성과 인터페이스 검증 등 약 1만 가지 항목을 테스트할 예정이다. 각 항목별로도 최대 5회 이상 반복 실험한다는 설명이다. SK텔레콤 연구원들은 6GHz 이하 대역에서 초광대역 주파수 대역까지 무선 주파수를 방사해 정보를 교환하는 통신 테스트, 프로토콜 시험 등 다양한 주파수 적합성과 성능을 검증할 예정이다. 5G망 연동성 검증이 끝나면 전파 도달이 약한 가상 환경을 만들어 100여 가지 시나리오별 테스트도 진행한다. 예를 들면 5G 기지국과 멀리 떨어진 거리에서 수십 개가 넘는 앱(App)을 동시에 실행하면서 영상통화를 한다. 실험실에서 모든 시험을 통과하면 산 주변이나 지하도 등을 직접 돌며 5G 스마트폰이 먹통이 되는지 측정하는 등 꼼꼼한 검증 과정도 거친다.

관련기사



SK텔레콤은 5G 생태계 확장을 앞당기기 위해 중소 단말제조업체에게 무료로 테스트 장비를 활용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스마트폰 뿐 아니라 산업용 단말, 웨어러블 단말, 사물인터넷(IoT) 단말 등 5G용 기기나 모듈을 만드는 기업이면 이용이 가능하다.

SK텔레콤 관계자는 “혁신적인 디바이스를 개발했지만 5G 계측 장비들이 대부분 고가 위주이다 보니 테스트 검증 및 운영 등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벤처기업에 5G 디바이스 테스트 랩이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강동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