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골프 골프일반

박인비 "체중·힘, 발바닥에 실어야 상체 긴장 풀려요"

박인비, 아마추어 골퍼에 샷 지도

"조바심 내려놓으니 열정 더 생겨

내년에도 즐기며 골프할 것"

박인비가 드라이버 샷 어드레스 자세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박인비가 드라이버 샷 어드레스 자세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셋업이 가장 중요해요. 상체가 긴장되지 않아야 합니다.”

‘골프여제’ 박인비(30·KB금융그룹)의 특급 과외에 아마추어 참가자들은 연신 고개를 끄덕였다. 박인비는 4일 오후 경기 고양의 메르세데스벤츠 일산전시장에서 열린 골프용품 후원사 던롭스포츠코리아 주최 고객 대상 이벤트에서 골프 노하우를 공개했다.

“골프 스윙은 한 분 한 분 특성이 있고 다르다”고 전제한 박인비는 평소 중요하게 생각하는 기본에 대해 설명했다. 셋업(준비자세)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하면서 페이스 정렬, 긴장 풀기, 척추 각 유지가 좋은 샷의 토대가 된다고 조언했다.


우선 클럽페이스를 타깃라인과 정확히 직각으로 정렬하기 위해서는 양손의 위치가 클럽헤드보다 약간 앞서는 핸드퍼스트 자세가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양손이 몸의 가운데에 오면 어드레스 상태에서 페이스가 열려 보이기 때문에 불안감을 느끼기 쉽다는 설명이 뒤따랐다. 박인비는 또 볼을 때려야 한다는 마음에 몸이 경직돼서는 ‘굿 샷’을 날리기 어렵다고 했다. 경직을 막는 비결로 ‘발바닥 이론’을 귀띔했다. “모든 체중과 몸의 힘을 발바닥 쪽에 쏠리게 한다는 생각을 가지면 자연스럽게 어깨와 상체의 힘이 빠지게 된다”면서 “저도 우승 경쟁 등 긴장된 상황에서 자주 쓰는 방법”이라고 공개했다. 마지막 세 번째는 “어드레스 때 등(척추)의 각도를 임팩트 이후까지 유지하라”는 것이었다. 몸이 일어나 척추 각이 변하면 정타가 어렵고 방향성도 지킬 수 없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박인비는 스윙 이외의 측면에서는 “자신을 정확히 파악할 것”을 조언했다. 그는 “아마추어분들과 동반해보면 최대로 잘 맞았을 때 거리를 자신의 거리로 과대평가하는 경우가 많다”며 “(연습장 등에서) 10~20개 정도의 볼을 하나의 클럽으로 치면서 자신의 거리를 테스트하고 그 평균거리를 자신의 거리로 적용하는 게 좋다”고 힘줘 말했다.

박인비가 4일 기자회견에서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박인비가 4일 기자회견에서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어 박인비는 기자들과 만나 올 한 해를 돌아보고 내년 시즌 계획도 밝혔다. 그는 “초반 파운더스컵 우승으로 시작이 워낙 좋았고 부상도 없었다. 지난 4월에는 2년6개월 만에 세계랭킹 1위에도 잠시 다시 올라봤고 또 5월 두산 매치플레이에서는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 투어 대회 첫 우승도 했다”며 “올 시즌 생각보다 많은 것을 이뤘다”고 결산했다. 특히 코스 안팎에서의 균형 있는 삶을 이룬 점에서 만족감이 크다고 했다. 그랜드슬램에다 2016리우데자네이루올림픽 금메달까지 차지한 그는 지난해 동기부여 부분에 대해 고민했다. “올해 조바심을 버리고 대회를 상대적으로 덜 나가면서 골프 이외 삶에서 더 여유를 찾으려고 노력했다”는 박인비는 “그렇게 했더니 오히려 골프에 대한 열정이 더 생기고 생활이 즐거워졌다”며 활짝 웃었다. 이어 “현재 설정한 목표는 내가 내린 명령을 내 몸이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것”이라며 “그런 능력만 유지하면 메이저 우승 등 원하는 걸 이룰 수 있다. 잘하는 후배·동료들이 많다는 것도 목표를 갖게 해주기 때문에 축복이라고 생각한다”고 역설했다.

이번 시즌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13개, 국내 4개 등 17개 대회에 출전했던 그는 내년에도 비슷한 수의 대회에 나가며 여유를 가질 생각이다. 자녀 계획에 관한 질문에 “너무 늦지는 않아야겠지만 출산 후 컴백이 말처럼 쉽지는 않기 때문에 당분간은 골프에 집중하며 신중하게 생각할 것”이라고 답했다. 최근 2년간 국내 무대를 평정하고 내년 미국 무대에 진출하는 이정은(22·대방건설)에 대해서는 “자타가 인정하는 실력을 갖췄기 때문에 낯선 분위기, 음식, 잦은 이동에만 적응하며 무덤덤하게 배우는 과정으로 받아들이면 되고 그런 걸 잘할 수 있는 선수라고 생각한다”며 성공을 낙관했다.

2주 뒤 출국해 시즌 개막 때까지 미국에서 머물 계획인 그는 내년 1·2월 대회를 건너뛰고 3월 첫 주나 두 번째 주 대회부터 나설 예정이다.
/고양=박민영기자 mypark@sedaily.com

박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