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靑, '광주형 일자리 난항'에 文대통령이 나서느냐는 질문에…

"노사간 주체적인 해결 지켜보겠다"

청와대 김의겸 대변인/연합뉴스청와대 김의겸 대변인/연합뉴스



청와대는 6일 광주형 일자리 투자협상이 난항을 겪게 된 것에 대해 노사 간의 주체적인 해결을 지켜보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기자들이 ‘문재인 대통령이나 정부가 노사 양측을 설득하는 데 나설 계획이 있느냐’고 묻자 “협상 주체의 노력을 지켜보고 있다”고 답변했다.

광주시와 현대자동차가 합작법인을 통해 완성차 공장을 설립하는 광주형 일자리 사업은 그동안 협상을 거쳐 이견을 좁혔고, 이날 투자 협약식을 열어 타결을 선언하는 방안도 검토됐다.


사실상 타결되는 것으로 보였던 광주형 일자리는 또 다시 공전하고 있다. 문제가 된 것은 임금·단체협약 ‘유예‘ 조항이다.

관련기사



노사 잠정 협상안에 따르면, 노사상생발전협의회의 결정사항의 유효기간은 누적 생산 목표대수 35만대 달성까지로 한다. 노사협의회에서 35만대 생산 때까지 단체·임금협상을 하지 않도록 결정하면 이를 따라야 한다는 얘기다. 광주시가 현대자동차에서 연 7만대 생산을 위탁받으면 35만대 물량을 채우는 4년동안 단체협약이 유예되는 셈이다.

전날 노동계가 위 조항에 반발하면서 노사 갈등이 재점화되고 있다. 광주시 노사민정협의회는 이 조항을 삭제한 수정안을 내놓았다. 현대자동차 측에서는 이 수정안을 거부했다.

/정선은 인턴기자 jsezz@sedaily.com

정선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