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삼성전자 임원 인사]반도체 제외하곤 승진 찬바람…위기대비 '방어의 삼성'으로

사장 승진 단2명, 임원은 158명

바이오 등 각종 악재에 소폭 단행

현상 유지로 '안정 속 성장' 택해

핀셋인사·성과주의로 난국 돌파

'실용노선 집약' JY색 뚜렷해져

1



6일 발표된 ‘2019년 정기 인사’를 보면 삼성전자의 위기감이 얼마나 큰지 잘 드러난다. 사장단 인사만 해도 김기남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 부회장과 노태문 IT·모바일(IM)부문 무선사업부 개발실장 단 2명으로 지난 2014년(2명) 이후 가장 소폭이었고 임원 승진자 역시 전년(221명) 대비 28.5% 급감한 158명에 그쳤다. ‘관리의 삼성이 방어적·수비적 조직운영에 들어갔다’는 말이 재계 안팎에서 흘러나왔다. 내년 초로 다가온 이재용 부회장의 국정농단 상고심, 삼성바이로직스 사태 등 그룹 안팎의 어수선한 상황이 영향을 줬다는 분석이다.

DS 분야에서 승진한 80명 가운데 15%인 12명이 직위·연한에 관계없이 임원으로 발탁되는 등 철저한 실력주의 인사도 두드러졌다. 재계의 한 고위관계자는 “적재적소의 ‘핀셋 인사’, 신상필벌에 근거한 ‘성과주의’가 특징”이라며 “경영 일선 복귀 후 첫 인사를 통해 이 부회장의 실리주의 경영 색깔이 뚜렷해졌다”고 말했다.

◇‘성과 낸 곳(반도체)’과 ‘키워야 할 곳(스마트폰)’에 대한 핀셋 인사=사장단 인사는 시장전망보다 단출했다. 현 경영진 중용을 통해 ‘안정 속 성장’을 꾀할 것이라는 관측이 그대로 맞아떨어졌다. 출범 1년을 갓 넘긴 김기남(DS)·김현석(CE)·고동진(IM) 등 ‘스리톱 체제’는 변화가 없었다. 김기남 사장의 부회장 승진도 뛰어난 실적과 그가 이미 2010년 사장에 오른 화려한 경력의 베테랑이라는 점에서 충분히 예견돼왔다.


그런 맥락에서 이번 사장단 인사의 하이라이트는 ‘노 사장의 승진’이다. 무선사업부 개발실장을 맡고 있는 노 사장은 만 50세에 불과하다. 특히 갤럭시 시리즈 출시 10주년을 맞는 내년은 ‘폴더블폰’이 출시되는 해로 스마트폰 침체가 극심한 삼성으로서는 전환점이 필요하다. 갤럭시 신화를 만든 주인공인 노 사장이 조직의 키를 거머쥐고 도약을 모색할 것으로 기대된다. 삼성의 한 임원은 “두 명 모두 기술 리더십의 진수를 보여줄 수 있는 역량을 갖췄다”며 “흔들리는 반도체, 침체에 허덕이는 스마트폰 사업을 안정적으로 이끌 적임자”라고 설명했다. 다른 관계자는 “사장단 인사가 소폭이지만 혁신과 안정이라는 이 부회장 특유의 실용노선이 집약된 느낌”이라며 “사업부별로 위기에 맞서 선제대응하려는 의도가 감지된다”고 촌평했다.

관련기사



◇각종 악재에 수비적 인사 치중=삼성은 이번 인사에서 부사장 13명, 전무 35명, 상무 95명 등 총 158명을 올렸다. 이 가운데 절반 남짓인 80명이 DS에서 나왔다. 올해 전체 승진자 수가 크게 준 가운데 DS 승진자 비중은 더 늘었다. 소비자가전(CE)과 IM 부문은 상대적으로 소외됐음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이런 가운데 외국인과 여성 승진자는 전년 대비 줄지 않고 11명을 유지했다. 엔지니어 우대도 여전했다. 연구개발(R&D) 최고 전문가로서 펠로우 및 마스터로 총 15명을 선임했다.

하지만 공격적 인사와는 거리가 있다는 게 전반적인 평이다. 현상 유지에도 못 미치는 수세적 인사라는 인상이 짙다. 삼성 내부에서조차 영업·마케팅·개발·제조 등에서 눈에 띄는 발탁 인사가 잘 안 보인다는 지적이 나올 정도다. 특히 임원 승진 수가 급감해 삼성을 떠나는 임직원이 늘어나지 않겠느냐는 우울한 전망도 나온다.

재계의 한 고위관계자는 “지난해에 ‘60세 이상 CEO 퇴진’이라는 기준으로 세대교체를 단행한 여파가 있을 것”이라면서도 “삼성이 처한 환경이 자신감 있게 인사나 조직 개편에 나설 상황은 아니지 않느냐”고 반문했다. 다른 임원도 “(삼성으로서는) 글로벌 경기 침체, 정부의 친노조 정책, 지배구조 개선, 노조 와해 수사 등 골치 아픈 현안이 많다”며 “내년에 어느 정도 안개가 걷혀야 삼성도 달라질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상훈·신희철·박효정기자 shlee@sedaily.com

이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