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5억명 고객정보 털린 메리어트 해킹 배후는 中 정부"

로이터통신 보도

메리어트 호텔 로고/AFP연합뉴스메리어트 호텔 로고/AFP연합뉴스



세계 최대 호텔그룹인 ‘메리어트인터내셔널’의 시스템이 해킹돼 고객 5억명의 정보가 노출된 사건의 배후가 중국 정부라는 의혹이 제기됐다.

5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은 3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메리어트인터내셔널호텔그룹에 대한 대규모 해킹을 수행한 해커들이 중국 정부의 정보수집 작전에 동원됐음을 시사하는 단서를 남겼다”고 보도했다.


이 소식통에 따르면 해킹 사건을 조사 중인 사설 조사관들의 조사 결과 과거 중국 해커들이 해킹할 때 사용하던 해킹 도구와 기술, 절차들이 이번 사건에서 발견됐다. 이는 이 사건의 배후에 중국 해커들이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또 이 작전은 경제적 이득이 아닌 베이징의 첩보활동을 위한 것이라고 이 소식통은 전했다.

관련기사



로이터는 “해킹 배후에 중국이 있다는 것이 사실로 확인되면 워싱턴과 베이징 간의 긴장관계는 더욱 복잡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 미국은 중국에 대한 간첩활동과 영업비밀 절취 혐의에 강력히 대응하며 긴장감을 높이고 있다. 일각에서는 미중 무역협상이 진행되는 가운데 이번 사건이 협상 과정에서 새로운 악재가 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지난달 30일 메리어트 측은 지난 2014년부터 스타우드호텔의 예약 시스템에 있던 고객 5억명의 기록이 해킹된 정황을 발견했다고 공개했다. 이번 해킹으로 고객 이름과 여권번호, 주소, 전화번호, 생년월일과 e메일 주소는 물론 신용카드 정보까지 유출된 것으로 알려졌다. 메리어트는 2016년 136억달러에 셰러턴·웨스틴·W호텔·세인트레지스·알로프트·르메르디앙 등의 호텔 브랜드를 가진 스타우드를 인수했다.

한편 중국은 해킹 의혹을 강력히 부인했다. 6일 겅솽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구체적인 정황을 알지 못한다”며 “사이버 보안 문제에서 근거 없이 비난하는 것을 단호히 반대한다”고 반박했다./박민주기자 parkmj@sedaily.com

노현섭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