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신약개발에 AI 활용…2.8조 들여 스마트의료기기 만든다

정부 '헬스케어 발전전략' 발표

약물감시체계 지능화…기간 단축

2030년까지 지능화 혁신 성공땐

630조 경제효과·730만 고용창출

로봇산업육성펀드 200억 조성

1115A14 4차 산업혁명위 9차 회의 주요 심의 결과 수정1



정부가 오는 2020~2029년 총 2조8,000억원을 투입해 스마트 융복합 의료기기 개발 지원 시스템을 구축한다. 또한 혁신형 제약기업에 대해선 신약 개발 승인 및 허가기간을 단축해주기로 했다.

보건복지부는 10일 관계부처와 함께 이 같은 내용을 담은 ‘4차 산업혁명 기반 헬스케어 발전전략’을 발표했다. 해당 전략은 이날 대통령직속 4차 산업혁명위원회 심의를 거쳐 확정됐다. 이번 전략의 중점과제는 헬스케어 빅데이터 생산·관리 시범체계 운영, 인공지능 활용 신약개발, 스마트 임상시험 체계 구축, 스마트 융복합 의료기기 개발, 헬스케어 산업 혁신 생태계 조성이다.

정부는 해당 전략에 따라 내년부터 2021년에는 ‘헬스케어 빅데이터 쇼케이스’사업을 추진한다. 해당 사업은 내년중 일반인과 암생존자, 생활습관개선 대상자 등 300명을 모집해 건강·의료·유전체 데이터를 통합 분석하는 방식으로 추진된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2020년 데이터 통합전송 관리기술 표준화가 이뤄진다. 해당 성과를 활용해 2021년에는 본격적인 기술 및 서비스 개발과 연구가 실시된다.


같은 기간중 ‘AI 신약개발 플랫폼 구축’사업도 실시된다. 이는 AI를 활용해 신약 후보물질을 발굴하고 전임상시험을 진행하며 약물감시 체계를 지능화함으로써 신약개발 기간을 전반적으로 단축하기 위한 사업이다. 정부는 임상시험 단계별 제도개선도 추진한다.

관련기사



이밖에도 스마트융복합 의료기기 개발을 위한 전주기 지원체계가 구축된다. 또한 국산 융복합 의료기기 판로를 넓혀주기 위해 병원 수요를 반영한 구매조건부 연구개발(R&D) 프로그램이 도입되며 혁신의료기술의 잠재가치를 반영하기 위해 신의료기술평가제도에 별도의 평가체계가 시범적으로 마련된다.

한편 4차 산업혁명위는 이날 ‘4차산업혁명 대응 추진방향 및 향후계획’, ‘로봇 제품의 시장창출 지원 방안’, ‘위원회 운영방안’도 심의·조정했다. 이중 4차 산업혁명 대응 추진방향 및 향후 계획은 경제 및 사회 전반의 지능화 혁신을 성공할 경우 2030년까지 최대 630조원의 경제효과와 730만개의 새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다는 전망을 담았다. 위원회는 이 같은 비전을 바탕으로 내년 상반기까지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한 정책권고안을 제시 하기로 했다.

로봇제품의 시장창출지원 방안은 제품의 사업화 지원 및 수요기반 강화, 시장연계 기술개발 지원, 시장창출 기반 구축을 3대 전략과제로 삼았다. 그런 차원에서 로봇산업육성편드가 내년 200억원 규모로 조성된다. 시중은행과 협력해 로봇기업의 연구개발 및 시설투자 등을 돕기 위한 융자상품도 개발하기로 했다. 로봇제품에 대한 규제 샌드박스 특례의 세부기준도 내년중 마련된다. 이를 바탕으로 부산 등 스마트시티시범도시를 로봇의 테스트베드로 활용하기로 한다. 로봇규제개선센터도 구축돼 내년부터 맞춤형 서비스가 제공된다. 2년간 3개 기초지방자치단체에 로봇 1,000여대를 시범사업으로 보급한다. 또한 2019~2021년중 153억원이 투입돼 사회적 약자를 돕기 위한 돌봄로봇을 우선적으로 개발하기로 했다. 이밖에도 2020년부터 6년간 총 4,026억원을 투입해 물류 및 수술 등을 돕는 서비스로봇의 기술을 개발하고 핵심부품을 국산화하는 사업이 추진된다.

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