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비만으로 인한 사회경제손실 11.5조원…"50대가 26.8% 차지"

건강보험공단이 2016 기준으로 실시

의료비에 의한 손실 규모 가장 커

성·연령별 비만에 대한 항목별 사회경제적 비용 건강보험공단 / 연합뉴스성·연령별 비만에 대한 항목별 사회경제적 비용 건강보험공단 / 연합뉴스



건강보험공단은 2016년 기준 비만으로 인한 사회적 손실이 한해 11조5,000억원에 달한다는 내용의 ‘비만의 사회경제적 영향’ 연구결과를 10일 공개했다. 2003∼2004년 일반건강검진 수검자 중 비만 관련 질병 과거력이 없는 1,000만 여명의 2016년 기준 건강보험 검진·진료자료를 바탕으로 의료기관 이용 때 발생하는 간병비, 교통비를 포함하는 직접의료비와 조기 사망 및 생산성 손실·저하로 인한 간접비를 합한 총비용으로 계산한 결과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의료비에 의한 손실 규모가 51.3%(5조8,858억원)로 가장 컸다. 다음으로 생산성 저하액 20.5%(2조3,518억원), 생산성 손실액 13.1%(1조4,976억원), 조기 사망액 10.0%(1조1,489억), 간병비 4.3%(4,898억원), 교통비 0.8%(940억원)가 뒤를 이었다.


사회경제적 비용을 성별로 살펴보면, 남자에 의해 발생하는 비용이 6조4,905억원(56.6%)으로, 여자에 의해 발생하는 비용 4조9,774억원(43.4%)보다 1.3배 손실이 크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50대가 26.8%로 가장 크고, 다음으로 60대(21.2%), 40대(18.2%), 70대(15.9%), 30대(7.9%), 80대 이상(7.3%), 20대 이하(2.6%) 순이었다.

관련기사



질병군 별로 나눠 손실 비중을 보면 2016년 기준 비만 관련 전체 사회경제적 비용(질병군별 추정이 어려운 ‘생산성 저하액’ 제외 비용) 중 당뇨병 비용이 22.6%(2조624억원)로 가장 컸다. 이어 고혈압 21.6%(1조9,698억원), 허혈성 심장질환 8.7%(7,925억원), 관절증 7.8%(7.092억원) 순으로 조사됐다.

거주 지역별 비만에 기인한 의료비 1인당 비용 건강보험공단 / 연합뉴스거주 지역별 비만에 기인한 의료비 1인당 비용 건강보험공단 / 연합뉴스


소득분위별 비만에 기인한 의료비 손실 비중 건강보험공단 / 연합뉴스소득분위별 비만에 기인한 의료비 손실 비중 건강보험공단 / 연합뉴스


비만에서 비롯한 의료비(건강보험 총진료비, 비급여제외) 손실을 거주 지역에 따른 1인당 비용으로 살펴보면, 전라남도가 약 33만 8,000원으로 지출 비용이 가장 많았다. 이어 전라북도 약 32만5,000천원, 부산광역시 약 31만6,000원, 강원도 약 30만7,000원 순으로 지출 비용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득과 재산을 반영한 건강보험료 분위에 따른 의료비 손실 비중을 그래프로 살펴보면 남자와 여자 모두에서 저소득층(0분위)이 가장 크고 점점 감소하다가 중상층을 지나 고소득층(20분위)으로 올라갈수록 다시 증가하는 ‘U자형’ 패턴을 보였다. /김은비 인턴기자 silverbi20@sedaily.com

김은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