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적으로 블록체인 기술 활용에 대한 움직임이 가속화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기술 경쟁력은 선진국 대비 70%대에 불과해 블록체인 기술 개발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11일 서울경제신문과 법무법인 율촌이 공동주최한 아시아미래 핀테크 포럼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블록체인·융합 프로젝트매니저(PM)를 맡고 있는 김종현 아주대 교수는 “우리나라는 정보통신기술(ICT) 강국이지만 블록체인 핵심기술 개발은 현저히 미흡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김 교수는 “여전히 블록체인 최고 기술 보유국 대비 우리나라는 76.4%로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낮고 선진국과의 기술격차도 2.4년 이상 벌어져 있다”며 “이미 세계적 블록체인 기술 경쟁에서 많이 뒤처졌으니 개발에 속도를 낼 수 있는 전문인력을 양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에 따르면 국내 블록체인 전문인력은 600여명에 그친다. 이 때문에 과기정통부는 오는 2022년까지 전문인력을 1만명으로 늘리고 전문기업을 현재 30여개에서 100개로 늘리는 ‘블록체인 기술발전전략’을 지난 6월 발표했다.
김 교수는 전문인력 양성을 통해 블록체인에 대한 정확한 평가와 대중적 이해 도모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전 세계 삶을 변화시켰던 인터넷도 첫 등장 이후 33년이 지나고 나서야 미국 대부분의 가정에 도입됐다”며 “이보다 상용화 시점이 더 오래 걸릴 수도 있는 블록체인은 인터넷보다 원리도 어렵기 때문에 일반 사람들이 실상을 잘 모르면 ‘블록체인 무용론’으로 번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당장 블록체인이 인터넷처럼 수익을 내는 사업을 가시적으로 내놓기 어렵다 보니 일반적인 사람들이 블록체인 자체에 등을 돌릴 수 있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또 “블록체인이 좋은 기술인 것 같은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사람들이 늘면 그만큼 인재를 모으기가 어렵다”며 “업계 내에서만 논의하는 것보다 서둘러 블록체인에 대한 평가와 이해를 확산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김 교수는 “인공지능(AI)의 경우 복잡한 기술이 필요해 우리가 구글 등 선진국을 단번에 따라잡기는 어렵다”면서도 “블록체인 기술은 우리나라의 플랫폼이나 커뮤니티 등이 해외에서 인정받고 있기 때문에 한번 도전해볼 만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블록체인 업계가 암호화폐공개(ICO) 허용 요구와 논의에 편중돼 있다고 비판했다. 블록체인 기업 입장에서는 ICO를 통해 손쉽게 자금조달을 할 수 있으나 투자자 입장에서는 사기 등 심각한 피해를 보는 등 폐해가 크다는 얘기다. 김 교수는 “ICO에 매몰되면 블록체인 산업 발전이 저해될 수 있다”면서 “ICO 말고도 다른 형태의 인센티브를 업계와 정부에서 다 같이 고민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