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증권일반

[에셋+] 국내증시 돌발변수 여전..."경기방어·가치주로 대비"

美 금리인상 속도 우려

韓 상승 모멘텀 부족 등

증시 단기조정 가능성도

조선·철강 등 실적개선주

고배당 업종도 주목해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이달 초 ‘휴전’하며 국내 증시를 억누른 무역분쟁이 해소되는가 싶었지만 돌발 변수는 여전하다. 안개가 확실히 걷히지 않은 만큼 증권가는 경기 방어주 중심으로 보수적인 투자를 이어가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양국의 ‘90일 무역전쟁 휴전’으로 완화되는 듯했던 분위기는 중국의 대표 정보기술(IT) 기업인 화웨이 최고재무책임자(CFO) 멍완저우 부회장의 체포 소식으로 다시 얼어붙기 시작했다. 미국 당국은 이란제재 회피를 위한 국제금융망 이용과 관련된 의혹으로 멍 부회장을 조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조연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대통령이 ‘강경파’로 꼽히는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를 대중 협상대표로 임명한 것도 미국의 보호무역 강화를 읽을 수 있는 신호”라고 분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시 주석과 협상을 벌인 직후 자신의 트위터에 스스로를 ‘관세맨(Tariff Man)’이라고 칭하며 보호무역 기조를 유지할 뜻을 분명히 했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연말 랠리’를 기대했던 국내 증시도 다시 소강상태에 빠졌다. 조 연구원은 “OECD 글로벌 경기선행지수가 계속 하락하는 가운데 이달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금리 인상을 단행할 경우 주식 같은 위험자산에는 부담이 클 것”이라며 “이밖에 영국의 EU 탈퇴, 유럽중앙은행(ECB)의 금리 유지 등 달러 강세를 자극할만한 요소들이 많아 주식 시장은 당분간 박스권 흐름을 계속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문동열 삼성증권 연구원도 “한국 경제성장의 기대치는 낮아지고 있고, 상승 모멘텀 부족은 증시를 단기적인 조정에 빠뜨릴 확률이 높다”고 전망했다.

관련기사



전문가들은 가치주와 경기 방어주를 중심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문 연구원은 “경기방어 업종 중 최선호는 통신주”라며 “다른 경기방어 업종들은 모두 주당순이익(EPS)이 줄어들고 있는 반면 이동통신 3사만 올해 하반기 들어 계속 개선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 지난 6월부터 11월까지 경기방어업종의 평균 선행 EPS는 -13.9%였던 반면 SK텔레콤(017670)KT(030200), LG유플러스(032640)는 평균 10%를 기록했다. 글로벌산업분류기준(GICS) 변경으로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커뮤니케이션 지수에 기존 통신 3사뿐 아니라 NAVER(035420)엔씨소프트(036570), 넷마블(251270), 카카오(035720), 제일기획(030000), 펄어비스(263750) 등 종목이 포함된 것도 호재로 분석된다.

실적 턴어라운드가 기대되는 업종 접근도 유효하다. 조선업의 경우 최근 증시 급락 국면에서도 선행 EPS는 25% 상향 조정됐다. 문 연구원은 “특히 최근 국제유가 급락과 해상물동량 증가율 전망 둔화에도 주가는 시장 대비 견고하다. 타 업종 대비 미래에 대한 기대가 긍정적임을 의미한다”며 “과도하게 부진했던 수주 개선의 기저효과, 수년간의 구조조정 효과 가시화도 긍정적인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단기 과매도 수준이 한계까지 오른 철강업종도 단기 상승을 점쳐볼 수 있다.

이에 더해 배당수익률은 방어적 대응전략의 주요 요인이다. 문 연구원은 “시장 전반의 상승 여력이 제한되는 국면에서는 배당수익률을 꾸준히 지켜봐야 한다”며 “지난 2011년에서 2016년까지 코스피 박스권 구간에서 고배당지수는 벤치마크를 약 15% 웃도는 수익을 거뒀다”며 “올해 기준 내년 4% 대 배당수익률이 예상되는 에너지, 은행 업종도 배당수익을 노린 대안으로 꼽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조양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