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빈부격차 개선 전망 최악"…사회·국가 희망지수 작년보다 하락

‘시민희망지수’ 조사…개인 차원 희망은 약간 높아져

12일 희망제작소에서 발표한 ‘시민희망지수’ 조사 결과, 빈부격차가 개선될 것이라는 사회적 기대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이미지투데이12일 희망제작소에서 발표한 ‘시민희망지수’ 조사 결과, 빈부격차가 개선될 것이라는 사회적 기대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이미지투데이



시민 개개인의 희망은 지난해보다 다소 높아졌지만 사회와 국가 차원의 희망은 더 낮아졌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2일 비영리 민간연구소인 희망제작소에서 지난달 6일부터 나흘 동안 15세 이상 1,000명을 대상으로 ‘시민희망지수’를 조사한 결과, 개인 차원 희망점수(100점 만점)는 62.1점으로 전년 대비 1.63점 올랐다.

관련기사



사회적 차원 희망점수는 49.6점, 국가적 차원 희망점수는 52.7점으로 각각 1.89점과 4.08점 하락했고, 세계적 차원 희망점수도 0.7점 낮아진 51점으로 집계됐다. 개인 차원의 희망은 친구·지인(67.4점), 가족(71.2점), 동반자(62.4점) 등 관계를 둘러싼 전망이 긍정적이었다. 반면 취업 및 사업기회 전망(48.6점) 항목의 점수가 가장 낮았다. 사회적 차원 희망이 가장 점수가 낮았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소득과 부의 격차 개선 전망’이 31.7점으로 가장 낮았다. 불평등 문제 개선 전망도 45점으로 낮은 편이었다.

연구를 맡은 손정혁 연구원은 “많은 시민이 우리 사회가 투명하지 않고 노력에 따라 성과가 공정하게 배분되지 않는 곳이라고 여기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정선은 인턴기자 jsezz@sedaily.com

정선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