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11월 자동차판매 친환경차 약진…내수 줄고 수출 늘어

생산 늘어…올 400만대 전망

전기차 내수·수출 두드러져

이미지투데이 제공이미지투데이 제공



지난달 자동차 내수와 수출에서 전기차 등 친환경차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13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11월 자동차 내수 판매는 작년 동기 대비 0.4% 감소한 16만2,748대로 집계됐다. 국산차는 0.7% 감소한 13만8,612대, 수입차는 1.6% 증가한 2만4,136대다.


현대차는 신형 싼타페의 호조로 판매가 0.3% 늘었다. 또한 렉스턴 스포츠 인기에 힘입은 쌍용차, QM6 모델의 인기를 이어간 르노삼성도 각각 판매가 17.8%, 1.3% 증가했다. 반면 기아차는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의 내수 판매 감소로 0.7% 줄었다. 한국GM도 경차 스파크 판매가 소폭 증가했으나 크루즈, 올란도 등 일부 모델의 판매 중단으로 전체적으로 19.9% 감소세를 보였다.

관련기사



수출입별로 보면 작년 대비 수출과 수입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차의 경우 화재 여파로 BMW 판매가 다소 감소했지만, 벤츠와 렉서스 등의 판매가 늘면서 전체적으로 1.6% 늘었다. 수출은 북미, 유럽 지역으로의 신차 수출이 늘어나고 중동, 중남미, 아프리카 지역에서는 감소하면서 작년 대비 1.6% 증가한 23만8,357대를 기록했다.

친환경차 내수는 수소차, 전기차, 하이브리드 차량의 판매가 모두 늘어 35.5% 증가한 1만5,776대로 나타났다. 하이브리드차는 23.1% 증가한 1만1,777대, 전기차는 23.9% 증가한 3,770대, 수소차는 2,186% 늘어난 160대였다. 친환경차 수출의 경우 하이브리드 차량은 소폭 줄었으나 전기차 수출이 늘어나 전체적으로 12.2% 증가한 2만2,398대로 나타났다. 하이브리드는 1.6% 감소한 1만6,253대, 전기차는 153.3% 증가한 4,228대, 수소차는 21대로 순증이었다. 이에 대해 산업부 관계자는 “전기차의 경우 다양한 모델이 출시되면서 소비자 선택권이 넓어지고 우리 업체의 기술발전으로 주행거리도 늘어난 것이 약진의 배경”이라면서 “수소차도 폭발적 성장이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국내 자동차 생산은 전년과 동일한 조업일(22일)이었는데도 2.2% 증가세를 보여 39만573대를 기록했다. 올해 1∼11월 완성차 생산은 367만대로, 파업 등의 변수가 없는 한 올 한해 생산은 400만대 안팎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자동차 부품 수출은 북미와 유럽 등으로 수출이 증가한 반면 아시아 중동 등으로는 수출이 줄어 0.6% 감소한 19억5,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박원희 인턴기자 whatamove@sedaily.com

박원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