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KAIST 이사회, 신성철 총장 직무정지안 결정 유보

“직무정지 결정해야” vs “시시비비 가려지지 않은 상태서 결정은 문제”

신성철 한국과학기술원(KAIST) 총장이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열린 이사회에 참석해 생각해 잠겨있다./ 연합뉴스신성철 한국과학기술원(KAIST) 총장이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열린 이사회에 참석해 생각해 잠겨있다./ 연합뉴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사회(이사장 이장무)는 14일 오전 정기이사회를 열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요구한 신성철 총장의 직무정지안을 논의했으나,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다음 이사회에서 이를 다시 논의하기로 했다. 이날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열린 이사회에는 이 이사장과 신 총장, 구혁채 과기정통부 미래인재정책국장 등 이사 10명이 참석했다.


이 이사장은 신 총장 직무정지안을 상정하고 신 총장이 없는 상태에서 과기정통부 측 구혁채 국장으로부터 과기정통부의 입장을 전달받은 후, 참석 이사들의 의견을 차례로 청취했다. 과기정통부와 기획재정부, 교육부 등 정부 측 당연직 이사들은 신 총장에 대한 직무정지를 결정해야 한다고 밝혔으나, 다른 이사들은 신 총장과 관련한 의혹의 시시비비가 가려지지 않은 상황에서 직무정지를 결정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의견을 피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이 이사장은 이 안건에 대한 결정을 유보하고 차기 이사회에서 재논의하는 안에 대해 이사들의 의견을 물어 과반수 찬성으로 유보를 결정했다.

관련기사



한편, 과기정통부는 앞서 신 총장이 대구경북과기원(DGIST) 총장 재임 당시 한국연구재단 및 미국 로런스버클리국립연구소(LBNL)와 연구협약을 체결해 지원받은 국가연구비 중 22억원을 LBNL로 빼돌린 것으로 드러났다며, 그를 횡령과 업무상 배임 등 혐의로 검찰에 고발하고 KAIST 이사회에 총장 직무정지를 요구했다.

이에 대해 신 총장은 “LBNL에 대한 현금지원은 이 기관이 보유한 X-선 시설 빔 타임에 대한 독자적인 사용권한 확보를 위해 적법한 절차의 협약을 통해 이뤄진 것”이라고 반론했다. 또한 과학기술계도 “존경받는 과학자를 절차조차 지키지 않은 부실한 조사로 무리하게 찍어내려 한다”며 반발하고 있다.
/변문우인턴기자 bmw1017@sedaily.com

변문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