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내년 3·1운동 100주년, 국민 참여 다양한 행사 진행

정부, 3대 분야 12대 전략 104개 사업 추진

내년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이를 돌아보고 기념하는 대대적인 행사가 펼쳐진다.

대통령 직속 3·1운동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는 1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제3차 전체회의를 열고 총 104개 핵심사업을 담은 종합계획을 확정했다.


종합계획은 과거, 현재, 미래를 주제로 한 3개 분야로 추진된다.

추진위는 국·한문 혼용으로 쓰인 독립선언서 원문의 의미를 살리면서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쉽고 바르게 읽는 3·1 독립선언서’를 제작해 보급하기로 했다.

내년 3·1절과 임시정부 수립기념일인 4월 11일을 전후해 각지에서 문화예술행사가 열린다. 3월 1일부터 4월 11일은 100주년 기념기간으로 지정됐다.

전국 곳곳에서 ‘독립의 횃불’을 릴레이로 봉송하고 미국 필라델피아에서는 제1차 한인회의 재현 행사가 열릴 예정이다. 중국 상하이에서 임시의정원 개원과 임시정부 수립을 기념하는 국제 세미나, 일본 도쿄에는 2·8 독립선언 100주년 기념행사를 준비한다.

추진위는 일제강점기 수형 기록을 전수조사하고 추가 유공자 지정을 추진한다. 독립운동을 지원한 외국인의 공적도 발굴하고 국외 거주 독립유공자 후손 초청, 임시정부 루트 탐방도 추진한다.


묘지가 확인되지 않은 독립유공자의 묘지를 찾고자 후손의 유전자 정보(DNA) 확보를 추진하고 국외 독립유공자 유해 국내 봉환도 계속한다.



‘독립운동을 하면 삼대가 망한다’는 속설을 타파하기 위해 독립유공자 후손의 심리적 트라우마 치유 방안도 강구한다.

의병 활동을 다룬 창극 ‘호남의병 혈전기’ 제작, 이상화·이육사·윤동주·한용운의 삶과 문학을 재조명하는 ‘우국시인 현창 문학제’ 개최가 진행된다. 또 효창공원의 독립공원화, 중국 충칭 광복군 총사령부 복원, 러시아 우수리스크 최재형 전시관 개관, 우토로 기념관 건립 등 역사적 의미를 담은 공간 조성에도 힘쓴다.

지난 100년을 성찰해 발전을 도모하는 사업도 진행한다.

추진위는 내년 3월 브루스 커밍스 등 석학을 초청해 한국의 독립운동이 동북아 평화에 미친 영향 등을 주제로 국제학술포럼을 개최하기로 했다.

분단과 전쟁을 극복하고 발전한 역사, 인권과 민주의 가치를 실천한 여성의 역할과 가치, 산업화 과정에서 여성의 역할 등 지난 100년의 다양한 부분을 살펴보는 사업도 준비한다.

추진위는 지난 9월 평양공동선언에 남과 북이 협의해 3·1운동 100주년 기념행사를 공동으로 치르기로 한다는 내용이 담긴 만큼 남북 대학생 교류, 공동 학술회의나 전시회 등을 북측과 협의해 추진할 방침이다.

추진위는 “일회성 행사가 아닌 국민적 관심이 이어질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성할 것”이라며 “내년 5월 이후에는 3·1운동의 정신과 임시정부의 가치를 확산하는 데 주력하고 미래 100년의 비전 수립을 위한 행사를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김정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