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당정, 택시기사 월급제 전면 도입 추진

연일 '카풀앱 반발' 달래기 대책

당정이 택시기사 월급제를 적극 추진한다. 지금도 월급제가 도입돼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이행되지 않고 있어 관련 법·제도를 마련해 정착시킬 방침이다. 카카오 카풀 애플리케이션 정식 서비스 시행을 앞두고 택시 업계의 반발이 커지자 이를 달래려는 방안 중 하나로 풀이된다.

전현희 더불어민주당 카풀·택시태스크포스(TF) 위원장은 14일 국회에서 당정이 비공개 협의회를 열고 이같이 의견을 모았다고 전했다. 당에서는 이해찬 대표, 김태년 정책위의장, 국토교통위원회 의원이 참석했고 정부에서는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 등이 참여했다.


전 의원은 “월급제 도입을 포함해 다양한 택시 지원책, 발전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며 “법적으로 월급제를 시행할 수 있게 즉각적인 대책을 수립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박홍근 민주당 의원은 택시기사의 사납금제를 실질적으로 폐지하고 월급을 받을 수 있는 여객운수법 개정안을 발의했으며 이날 회의에서 이 법안도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전 의원은 “택시기사들이 실제 근로시간보다 보수를 덜 받는 문제가 있어 현실적인 급여를 받을 수 있는 대책도 세우기로 했다”고 말했다. 택시기사의 월급이 250만원 안팎이 될 것이라는 전망과 관련해서는 “그것보다는 많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했다. 월급제 도입에 따른 택시요금 인상 우려에 대해서는 “요금을 올리는 방안은 검토하고 있지 않다”면서 “다만 공항 픽업, 임산부·노령자 사전예약제 등 택시 서비스를 다양화하기 위해 규제를 완화하는 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그는 “국토부의 중재안에는 택시 산업 발전을 위한 지원책이 담겨 있다”며 “더 협의해 조만간 최종안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하정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