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정서에 남쪽은 언제나 희망과 동경의 대상이다. 한반도의 지리적 영향과 농경사회 당시 일조량에 관심이 많았기 때문인지는 몰라도 문화 곳곳에 남쪽에 대한 깊은 애정이 서려 있다. 가장 대표적인 사례가 주거다. ‘남향집에 살려면 3대가 적선해야 한다’는 속담처럼 집은 남향을 으뜸으로 친다. 또한 남쪽의 좋은 기운이 일을 잘 풀리게 한다고 믿어 임금이 정사를 볼 때는 남면(南面)할 것을 원칙으로 정하기도 했다.
남향의 좋은 기운을 받아 행운과 번영을 꾀했던 우리 조상들처럼 지금 한국 경제도 세계 경제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각광받는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아세안)과 인도 등 신남방 지역에서 새로운 활로를 찾고 있다.
아세안의 인구는 6억4,000만명, 경제 규모는 2조8,000억달러에 달한다. 최근에는 연평균 5%대의 성장률을 달성하며 소득 수준도 빠르게 높아지고 있다. 13억 인구의 인도는 나렌드라 모디 총리의 강력한 리더십 아래 7% 이상의 고성장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신남방 지역은 지난해 기준 우리 대외교역의 16.1%를 차지했고 특히 교역흑자 측면에서 중국(443억달러)보다 높은 515억달러를 기록했다. 투자 측면에서도 신남방 지역에 대한 투자금액이 54억달러를 기록하면서 중국에 대한 투자금액인 30억달러를 이미 넘어섰다.
글로벌 기업들이 총성 없는 전쟁을 벌이는 가운데 우리 정부의 발걸음도 빨라지고 있다. 정부 출범과 함께 아세안과 인도에 고위급 특사를 파견하고 관계 강화에 시동을 걸었다. 지난해 11월에는 문재인 대통령이 ‘한·인도네시아 포럼’에서 ‘신남방 정책’과 이를 위한 구체적 로드맵인 ‘한·아세안 미래 공동체’ 구상을 발표했고 협력 분야로 교통·에너지·수자원·정보통신 등을 제시하면서 양 지역 간 협력이 본궤도에 올랐다.
우리 기업들 입장에서 보면 아세안 인프라 시장과 정보통신 분야에서의 협력을 주목해볼 만하다. ‘아세안 연계성 마스터플랜 2025’에 따르면 오는 2030년까지 아세안의 교통·전력·통신 등 인프라 분야 수요가 3조3,00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대부분 우리 기업들의 경쟁력이 높은 분야여서 활발한 협력이 기대된다.
신남방 정책이 실행된 지 1년이 조금 넘은 지금 경제와 문화 곳곳에서 소기의 성과들이 들려오고 있다. 인도네시아·베트남·인도 등에 자동차·철강·석유화학 등 주력 제조산업의 생산과 진출 거점을 마련했다. 신남방 지역의 인프라 수주도 올해 10월 기준 98억9,000만달러를 기록하면서 중동의 85억7,000만달러를 제치고 최대 수주처로 자리매김했다. 외교 문화의 성과도 주목할 만하다. 지난 1년간 총 8회의 정상회담을 갖고 협력의 기틀을 다지는 계기를 마련했다. 인적교류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현재 800만명을 넘은 상호 방문객 숫자는 조만간 목표치인 1,500만명까지 빠르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신남방 정책이 다양한 분야에서 결실을 얻고 있는 것은 ‘상생’을 핵심가치로 내세우고 있기 때문이다. 경제협력을 넘어 사람 중심의 평화와 번영의 공동체를 함께 이뤄간다는 비전이 신남방 지역 국가들의 마음을 움직이고 있는 것이다.
성공적인 신남방 정책을 위한 양 지역 간 민간 가교도 놓였다. 대한상공회의소와 아세안상공회의소 중소·중견기업들이 참여하는 대표적인 협력채널인 ‘한·아세안 비즈니스카운슬(AKBC)’을 통해 민간 경제협력 증진을 꾀하고 있다. 첫 단추가 잘 끼워진 만큼 앞으로의 활동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지난 1년이 정책의 초석을 다지는 시간이었다면 이제는 분야별 세부사항을 챙기고 완성도를 높여나가야 하는 시점이다. 그간 우리 외교와 경제의 변방으로만 인식됐던 신남방 국가들이 이제는 우리에게 새로운 기회의 나라들로 다가오고 있다. 아시아의 미래를 함께 열어나가는 동반자로서 앞으로 우리부터 먼저 진지한 자세로 가슴을 열고 그들에게 다가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