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혁신 동력, 차기 지도부에 달려...친박 집단이탈 없을 것"

■서경 펠로 '한국당 인적쇄신' 진단

현역 21명 적지않지만 변화폭 미미

총선 임박땐 당선 가능성에 무게

친박엔 '구제 시나리오' 기회 될듯

전대 이후 2차·3차 쇄신 이어가야




“동력도 변수도 차기 지도부에 달렸다. 그래서 한계가 분명한 쇄신이다.”

‘현역의원 21명 물갈이’라는 자유한국당의 인적 청산을 두고 전문가들은 대체로 “아쉽다”고 평가했다. 이번 작업을 주도한 비상대책위원회의 임기가 3개월여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일시적인 시늉이냐, 개혁이냐’는 차기 지도부에 가서야 판가름날 것이라는 분석이다.


◇뜯어보면 미흡한 물갈이 규모=서울경제신문 펠로(자문단)들은 이번 당협위원장 교체 규모가 ‘쇄신’이라고 부르기에는 부족하다고 입을 모았다. 비대위가 내놓은 ‘당협위원장 배제 명단’을 보면 한국당 현역의원 112명 중 19%에 달하는 현역을 물갈이 대상에 넣었다. 그러나 속을 들여다보면 ‘생색내기’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최창렬 용인대 교수는 “현역 21명은 작은 규모는 아니지만 면면을 뜯어보면 변화 폭이 미미하다”며 “이것을 ‘쇄신’이라고 보기에는 아쉬운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한국당 전신인 새누리당 출신의 이상일 전 의원도 “입법활동이나 지역에서의 책임활동에 소홀했던 현역의원들에 대한 작업은 없었다”고 아쉬움을 표했다.

관련기사



◇친박 집단 반발 대신 ‘관망’ 우세=21명의 배제 명단에 12명의 이름을 올린 친박계의 집단 이탈 가능성은 낮게 봤다. 한두 명이 공개 반발할 수는 있겠지만 현재로서는 ‘구제 시나리오’에 무게를 두고 후일을 도모하는 정치적 계산이 작용할 것이라는 이야기다. 김형준 명지대 교수는 “당협위원장 배제가 공천 탈락을 100%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선거가 코앞인 상황에서 태극기든 대구·경북(TK)이든 득표력을 지닌 세력은 죽지 않는다”고 분석했다. 새 인물을 당협위원장에 앉힌다고 해도 오는 2020년 총선 공천에서는 당선될 가능성이 큰 인물로 당의 선택이 기울어 친박계에 기회가 될 수 있다.

◇동력도 변수도 차기 지도부=인적 쇄신의 지속성은 차기 지도부에서 판가름날 것으로 내다봤다. 현재로서는 다음 지도부가 비대위의 쇄신안을 완전히 뒤엎을 가능성은 낮다. 다만 나경원 원내대표가 강조해온 ‘의정활동에 따른 가점 부여’ 등으로 일부 인사를 구제할 여지는 얼마든지 있다는 관측이다. 김 교수는 “총선을 위해 공천 기준을 새로 만들고 ‘당선 가능성’을 구제의 명분으로 내세울 수도 있다”며 “새로 뽑을 79곳의 당협위원장 중 1년간 선거에서 이길 만큼 세를 구축할 수 있는 인물이 얼마나 되겠느냐”고 반문했다. 이 전 의원도 다음에 들어설 지도부의 역할을 강조하며 “이번 쇄신은 시동을 건 것일 뿐”이라며 “내년 전당대회를 거치며 2차 쇄신을, 2020년 총선 공천을 통해 3차 쇄신을 이어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송주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