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경기농기원, 축산농가 골칫거리 ‘파리’ 천적으로 해결

경기도농업기술원은 축산농가에 발생하는 파리를 친환경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기술을 한국유농곤충연구소에 이전한다고 17일 밝혔다

경기농기원에서 이번에 개발한 천적은 ‘모가슴풍뎅이붙이’로 집파리의 번데기를 포식하는 기존의 천적과는 달리 파리의 알을 먹어치우는 습성이 있다.

경기농기원 관계자는 파리의 친환경 방제를 위해 기존의 천적과 혼용하면 알과 번데기를 동시에 방제할 수 있고, 토착천적이기 때문에 우리나라 환경에 잘 적응한다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축사에 발생하는 파리류는 가축에게 스트레스를 주거나 관절 이상 등 질병을 일으켜 생산량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축사 주변 주거지의 민원꺼리가 되는 골칫거리다. 이런 축산농가의 집파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 2014년도에 연구를 들어가 지난 2016년에 사육기술 특허출원을 마쳤으며 이번에 기술이전을 하게됐다.

관련기사



그동안 집파리 방제를 위해 70% 이상 살충제를 이용해 왔으나, PLS(허용물질목록제도)가 전면시행되는 내년부터는 살충제가 주변 논밭으로 날아가 피해를 줄까봐 농업인들의 고민도 깊다.

농업기술원에서 이번에 개발한 천적은 ‘모가슴풍뎅이붙이’로 집파리의 번데기를 포식하는 기존의 천적과는 달리 파리의 알을 먹어치우는 습성이 있다.

경기농기원은 파리의 친환경 방제를 위해 기존의 천적과 혼용하면 알과 번데기를 동시에 방제할 수 있고, 토착천적이기 때문에 우리나라 환경에 잘 적응한다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우리나라 축산업은 지난 2015년 기준 축산 생산액은 19조1,116억원으로 농업생산액의 20%를 차지하고 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