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기고] 장기투자 필요한 농림기상서비스

김종석 기상청장

집중호우·폭염·이상저온 등

농업분야 자연재해 피해 늘어

기후변화 대응체계 구축해야




세계경제포럼(WEF)은 미래 경제에 악영향을 미치는 10대 제한요인 중 3개가 극단적 기상이변, 자연재해, 기후변화 대응 실패 같은 기상·기후 문제라고 밝혔다. 이를 뒷받침하듯 자연재해로 인한 세계 경제 손실의 규모는 지난 2016년 기준 2,100억달러에 달했으며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농림 분야는 자연재해에 가장 취약한 분야다. 해마다 발생하는 집중호우·태풍·폭염 등의 자연재해는 전국의 산지와 농경지에 고스란히 큰 피해를 입혔고 2015년에는 농업 분야의 경제적 손실이 약 620억원 발생했다. 특히 이상저온 및 서리 발생 피해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서리는 보통 늦가을에 발생하지만 최근에는 갑자기 찾아온 추위로 초가을에도 서리가 나타나 과실이 얼어버리거나 이른 봄 따뜻한 날씨에 급하게 핀 과실수나 새싹들이 급격한 이상저온으로 피해를 입는다. 2014년 농림축산식품부는 이상저온 및 서리 발생으로 인한 피해농가에 83억7,200만원의 재해복구비를 지원했다. 올해는 전국적으로 약 6만6,503㏊ 규모의 농작물 피해가 발생해 전년 대비 2.2배 증가했다. 이 중 경북 지역의 서리 피해 규모는 1만6,392㏊로 서울 여의도 면적의 57배에 달했다.


이렇듯 무방비 상태에서 발생한 서리가 농가의 직접적인 피해로 이어짐에 따라 상세한 서리 예측에 대한 요구가 끊임없이 제기돼왔다. 하지만 서리는 농지의 위치나 저수지·호수·해안가 등 수원지와의 거리, 해발고도 등 지형과 환경에 따라 발생 유형이 판이하기 때문에 이를 예측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관련기사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기상청은 시군구 단위의 예보 기상 자료와 지점별 고도, 수원지와의 거리, 지형 자료 등을 활용해 인공지능(AI) 기법의 ‘서리 발생 예측기술’을 개발했다. 이 서비스는 서리 피해 방지 지원 정책의 일환으로 현재 기상기후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인 ‘날씨마루’에서 시범 운영하고 있다. 해당 지역의 주소와 위도·경도 정보를 입력하면 ‘오늘’과 ‘내일’에 한해 서리 발생 가능성을 알 수 있다.

기후변화 시대인 지금 자연재난에 대한 대비는 국가 정책의 성패를 좌우할 중요한 요인으로 떠올랐다. 따라서 지역 수요자 맞춤형 농업기상 서비스의 개발뿐 아니라 기후변화와 위험기상에 대한 국가 차원의 대응 및 국가적 인프라의 구축이 동반돼야 한다. 그 일환으로 기상청과 농촌진흥청·산림청은 11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단순한 연구협력 체계에서 벗어나 각 기관이 가진 역량과 자원을 융합하고 국가 차원의 재해재난 대응 체계를 구축해 국민들을 위한 실질적 성과를 이끌어내는 데 목표가 있다.

자연재해·재난 대응 체계 구축을 위해서는 정확하고 상세한 기상 관측 자료 확보가 우선돼야 한다. 이를 위해 3개 기관은 서로가 가진 관측 자료를 공유하고 품질을 높여나가기로 했다. 또 전국에 분포해 있는 3개 기관의 관측 데이터 공유와 시공간적으로 조밀해진 관측망으로 농림기상 분야의 환경에 맞는 기상 예측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아울러 최근 성공적으로 발사된 천리안위성 2A호로부터 제공될 자세한 기상위성 자료와 개발하고 있는 한국형 수치 모델 자료를 서로 보완해 더욱 신속하고 정확하며 상세한 기상정보를 각 기관과 공유하기로 했다. 농림 기반의 기술 확충과 서비스 예측기술 향상 그리고 한층 발전한 기상재해 조기경보 시스템으로 농림기상 서비스가 국민들에게 더욱 신속하게 전달될 것으로 기대된다.

기상과 농림은 불가분의 관계다. 기상·기후 문제가 전 세계적인 경제의 주요 문제로 대두되는 지금과 미래에 대비하고 준비하기 위해 상세한 기상정보·AI·빅데이터·사물인터넷(IoT) 등 첨단기술을 융복합해 더욱 체계적이고 발전된 기상농림 분야의 재해재난 대응 시스템이 구축되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투자가 필요하다.

서종갑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