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농진청, '반려견' 겨울나기 요령…염화칼슘 삼키지 않게 주의 등 소개

농촌진흥청은 반려견과 함께 생활하는 가정이 점차 늘면서 추위에도 건강하게 겨울을 나기 위한 요령을 소개하고 나섰다.

19일 농진청에 따르면 반려견의 체온은 대개 37.7∼39.2도로, 품종과 체형, 털의 형태에 따라 다르지만 생활하기에 알맞은 온도는 15∼26도다.

농진청 국립축산과학원 곽정훈 축산환경과장은 “추운 곳에 오래 있을 때 귀나 꼬리, 발가락이 동상에 걸릴 수 있으며, 저체온증이 나타난다”며 “털이 짧은 품종은 추위에 약하므로 보온에 더 신경 써야 한다”고 설명했다.

보온을 위해 조끼를 입힌 반려견보온을 위해 조끼를 입힌 반려견



동상에 걸리면 주변 부위가 창백하게 변하고, 만지면 아파한다. 마른 수건으로 동상 부위를 감싼 다음 머리말리개 등으로 따뜻하게 해줘야 한다. 온도가 너무 높으면 조직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고 그는 조언했다. 발병 부위가 어둡게 변했다면 바로 동물병원을 찾아 진료를 받아야 한다.


곽 과장은 “저체온증은 정상 체온 이하로 떨어진 경우를 말한다”며 “가볍게 나타날 경우 피부가 창백하거나 떨림, 무기력함, 졸리는 증상을 보이지만, 체온이 많이 떨어지면 생명을 위협할 수 있으므로 초기에 바로 조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실내에서 지내는 반려견이라면 바깥 활동 시 보온이 잘 되는 소재의 옷을 입혀야 한다. 산책은 볕을 쬐며 걸을 수 있는 시간과 장소를 골라 계획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좋다.

곽 과장은 “집 밖에서 생활하는 반려견은 휴식처를 따뜻하게 해준다. 덮개나 방풍 비닐을 외부에 덮어 보온이 되게 하고, 내부에는 깔개를 깔아줘야 한다”며 “휴식처에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도록 하고, 체온 유지로 에너지 소모가 큰 만큼 사료량은 늘려주는 것이 좋다”고 강조했다.

그는 겨울에는 염화칼슘과 부동액을 뿌려 제설하는 도로가 많은데, 이 때문에 반려견의 발바닥이 다치지 않도록 장화를 신기면 도움이 된다고 지적했다.

또 염화칼슘과 부동액을 삼켰다면 위장 질환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힘이 없거나 구토 증상이 나타나는지 눈여겨볼 필요가 있으며, 외출 후에는 마른 수건으로 털을 닦아주는 것이 좋다고 언급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