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반려견도 동상 걸린다...털 짧은 품종 추위에 더 약해

동상 걸리면 주변부위 창백하게 변해

저체온증땐 떨림·무기력함 증상 보여

따뜻하게 입히고 제설제 안 먹게해야

반려견도 겨울철 동상과 저체온증에 걸릴 수 있어 옷을 따뜻하게 입히고 산책해야 한다./ 이미지투데이 제공반려견도 겨울철 동상과 저체온증에 걸릴 수 있어 옷을 따뜻하게 입히고 산책해야 한다./ 이미지투데이 제공



흔히들 견공(犬公)들은 흰 눈을 좋아한다고 생각하지만, 반려견도 겨울철 동상과 저체온증에 걸릴 위험이 있어 옷을 따뜻하게 입혀야 한다. 이와 관련 농촌진흥청은 반려견과 건강하게 겨울을 나기 위한 요령을 19일 소개했다.

농진청에 따르면, 반려견의 체온은 37.7∼39.2도로 품종, 체형, 털의 형태 등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생활하기에 적절한 온도는 15∼26도이다. 농진청은 “추운 곳에 오래 있으면 귀, 꼬리, 발가락이 동상에 걸릴 수 있고 저체온증이 나타나기도 한다”며 “털이 짧은 품종은 추위에 약해 보온에 더 신경 써야 한다”고 역설했다.


반려견이 동상에 걸리면 주변 부위가 창백하게 변하고 만지면 아파하게 되는데, 이때는 마른 수건으로 동상 부위를 감싼 다음 머리말리개 등으로 따뜻하게 해 줘야 한다. 다만, 온도가 너무 높으면 조직이 손상될 수 있어 주의해야 하며, 발병 부위가 어둡게 변색됐다면 바로 동물병원을 찾아 진료받아야 한다.

관련기사



저체온증은 정상 체온 이하로 떨어진 때를 가리키는 데, 가볍게 나타나면 피부가 창백해지거나 떨림·무기력함·졸림 증상을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체온이 많이 내려가면 생명을 위협할 수 있어 초기 조치가 필요하다. 농진청은 “실내에서 지내는 반려견이라면 바깥 활동을 할 때 보온이 잘 되는 소재의 옷을 입혀야 한다”며 “산책은 볕을 쬐며 걸을 수 있는 시간과 장소를 골라 계획적으로 하는 것이 좋다”고 언급했다.

또 집 밖에서 생활하는 반려견의 경우는 덮개, 방풍 비닐을 덮어 휴식처를 따뜻하게 해 주고, 내부에는 깔개를 깔아 주는 게 좋다. 또한 체온 유지로 에너지 소모가 커 사료량은 늘려야 한다.

농진청 관계자는 “겨울에는 염화칼슘과 부동액을 뿌려 제설하는 도로가 많으므로 반려견의 발바닥이 다치지 않도록 장화를 신기면 좋다”며 “염화칼슘과 부동액을 먹지 않도록 조심하고, 외출 후에는 발바닥과 발가락의 눈과 물기를 모두 낚아내야 한다”고 설명했다.
/변문우인턴기자 bmw1017@sedaily.com

변문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