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국내 사망 80%가 ‘만성질환’ 탓…암·심장질환·뇌혈관질환 순

질본 통계…만성질환 진료비 연 44조7,000억

예방하거나 피할 수 있었던 사망 비율 높아

◇우리나라 사망원인 통계

*자료:통계청*자료:통계청



우리나라 사망자 10명 중 8명의 주요 사망 원인은 암과 심뇌혈관질환, 당뇨병, 만성호흡기질환 등 만성질환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암으로 인한 사망이 가장 많았고, 심장질환과 뇌혈관질환 순이었다.

20일 질병관리본부가 발간한 ‘2018 만성질환 현황과 이슈’ 통계집에 따르면 지난 2016년 기준으로 만성질환은 전체 사망 원인의 80.8%를 차지했다. 기타 사망원인은 손상이 10.0%, 감염성질환이 9.2%였다.


사망원인 상위 10위 중 7개도 만성질환이었다. 암이 27.8%를 차지했고, 심장질환(10.6%), 뇌혈관질환(8.3%), 당뇨병(3.5%), 만성하기도질환(2.5%), 간질환(2.4%), 고혈압성질환(1.9%) 순이었다. 특히 암과 심뇌혈관질환, 당뇨병, 만성호흡기질환은 전체 사망원인의 71%를 차지해 이들 질환에 대한 관리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만성질환 진료비는 44조7,000억원으로 국내 전체 진료비의 84.2%를 차지할 정도로 컸다. 노인 인구 증가로 만성질환에 대한 부담 증가가 불가피한 상황이어서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

다른 나라와 비교하면, 당뇨병으로 인한 사망률은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가운데 8위, 뇌혈관질환 사망률은 13위 수준이었다.

우리나라 회피가능사망률은 33.2%로 영국보다 9.6%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회피가능사망률이란 전체 사망자 가운데 죽음을 예방하거나 피할 수 있었던 사람의 비율을 말한다.

양사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