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113년만에 고려대 첫 '공대 출신 총장' 나왔다

신임 총장에 정진택 교수 선출

서울대·성대 이어 이공계 부상

주요大 4차산업 인재육성 채비

113년 고려대 역사상 첫 공과대학 출신 총장이 나왔다. 서울대·성균관대에 이어 고려대에서도 차기 총장으로 이공학계열 교수가 선출되면서 국내 주요 대학들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걸맞은 인재 육성을 위한 채비에 적극 나선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고려대 학교법인 고려중앙학원은 20일 이사회를 열고 정진택(공과대 기계공학부) 교수를 제20대 총장으로 선임했다. 임기는 내년 3월부터 4년간이다. 정 교수는 지난 1983년 고려대 공과대학 기계공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미네소타대에서 공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고려대 대외협력처장, 공학대학원장, 공과대학장, 테크노콤플렉스 원장, 기술경영전문대학원장 등을 지냈다.


고대 신임 총장으로 임명된 정 교수는 “창의와 혁신으로 4차 산업시대를 앞장서 개척함으로써 나라의 발전과 인류 번영의 새 역사를 열어가고자 한다”면서 “창의적 미래 인재를 육성해 세계를 변화시키는 대학으로 다시 한 번 우뚝 서고자 한다”고 당선 소감을 밝혔다.

관련기사



후보 시절 그는 자연계 교양교육을 담당하는 자연계 기초교양관을 구축하는 내용의 공약을 제시한 바 있다.

세부적으로 이중전공·융합전공을 활성화하고 교내 병역특례지정 연구소를 늘려 박사 수료생에게 연구 기회를 확대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한국과학기술연구원 등과 협력해 연구 장비 공동 활용 플랫폼을 구축하겠다는 뜻도 내비쳤다.

앞서 지난달 서울대와 성균관대에서도 과학 분야 교수들이 총장으로 잇따라 낙점됐다. 서울대는 오세정 자연과학대 명예교수를, 성균관대는 신동렬 소프트웨어학과 교수를 차기 총장으로 선임했다. 이들은 자연계 이공계 분야에 정통한 만큼 공약도 이에 전문화된 내용을 내걸었다. 서울대 차기 총장인 오 교수는 창업센터를 설립하고 첨단 기술기업을 육성하는 ‘SNU 산학타운’을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또 성균관대를 이끌 신 신임 총장도 4차 산업 변혁기에 진정한 글로벌 리딩(선도) 대학으로 도약하는 기반 조성을 주요 공약을 내걸었다.

김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