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워라밸 지수' 가장 높은 지역은 서울…충북·충남 '최하위'

서울 사업장의 경우 육아 복지 도입 비율 많고 근로시간도 짧아




서울의 ‘워라밸’ 수준이 전국 17개 광역시·도 가운데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는 전국 광역시·도의 워라밸 수준을 보여주는 ‘2017년 지역별 일·생활 균형 지수’를 21일 발표했다.

‘워라밸’은 일과 삶의 균형을 뜻하는 말로 좋은 직장의 조건으로 쓰이고 있다. 노동부에서 발표한 지수는 광역시·도별 일과 생활의 시간적 균형, 성별 균형, 인식·태도 등을 지표로 만들어 종합한 것으로, 노동부의 의뢰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개발했다. 노동부가 지역 단위 워라밸 지수를 발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워라밸 지수의 전국 평균은 37.1점(100점 만점)으로, 개별적으로는 서울(43.1점)이 가장 높았고 부산(39.5점)과 대전(38.4점)이 뒤를 이었다. 울산(38.2점), 경남(37.7점), 전북(37.4점) 등도 높은 편이었으며, 가장 낮은 곳은 충북(34.8점)과 충남(34.8점)이었다.

관련기사



서울은 남녀 육아휴직과 육아기 노동시간 단축 등을 도입한 사업장 비율이 다른 시·도보다 월등히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노동부는 “종사자 및 매출액 규모가 큰 사업장 비율이 높다는 점이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총 근로시간(월 166.3시간)과 초과근로시간(월 5.2시간)은 광역 시·도 중 가장 짧았으며, 국공립 보육시설 설치 비율(20.5%)도 높았다.

부산은 모든 영역에서 전국 평균을 웃돌았고 ‘워라밸’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관심도를 보여주는 ‘담당 조직 유무’ 지표 등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은 남녀 육아휴직 사용 사업장 비율이 높았고 일과 가족생활을 우선시하는 정도에 관한 지표 등도 상위권으로 나타났다.

한편 노동부는 광역시·도별 워라밸 지수를 지역별 일·생활 균형 실태와 관심도 제고, 지역 맞춤형 개선 등 정책 입안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노동부는 “앞으로 올해 지수에 포함하지 않은 지표를 생산하는 등 일·생활 균형 지수가 지역의 일·생활 균형 수준을 보다 잘 반영할 수 있도록 보완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변문우 인턴기자 bmw1017@sedaily.com

변문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