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제도

지방 건설사가 쓰러져 간다

미분양 사태에 유동성 얼어붙어

흥한건설 이어 성우건설도 부도

지난 8월 경남 진주에 본사를 둔 흥한건설에 이어 30년 업력의 전주 지역 기반 건설사 성우건설이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지방 부동산 경기 침체가 심화하는 가운데 중소·중견 건설사들의 연쇄부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21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성우건설은 최근 법원에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1985년 설립된 성우건설은 지난해 902억원의 매출을 기록하는 등 꾸준히 몸집을 불려왔지만 저가 수주로 재무상태가 나빠졌다. 이런 가운데 부동산 경기 침체까지 겹치면서 위기에 처한 것으로 보인다.


이 회사가 시공 중인 아파트·오피스텔은 3곳가량이다. 이들 사업장 모두 부동산신탁회사가 시행사인데다 분양보증에 가입돼 있어 분양 계약자들의 피해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토지신탁의 서충주 신도시 코아루더테라스, 코람코자산신탁의 아산 법곡동 성우더파크2차, 한국자산신탁의 제주 더오름카운티원 등이 사업지다.

관련기사



한편 8월 흥한건설에 이어 성우건설까지 부도 처리되면서 지방 중소·중견 건설업계의 위기감은 더욱 커지고 있다. 흥한건설 역시 41년의 역사를 가진 중견 건설사로 지역 강소기업으로 통하던 업체였다. 하지만 최근 부동산 규제, 특히 대출 규제가 강화되면서 아파트 미분양 사태로 유동성 위기에 빠졌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10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주택은 3개월 연속 감소했지만 지방은 반대로 증가했다. 특히 악성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주택 가운데 지방 물량은 60%가 넘었다.

박윤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