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시민 33% “내년 최대 경제이슈는 청년실업·고용문제”

서울연구원 분석…부동산 경기·최저임금 인상 뒤이어

2017 서울시가 개최한 뉴딜 일자리 박람회 모습. /연합뉴스2017 서울시가 개최한 뉴딜 일자리 박람회 모습. /연합뉴스



서울시민은 내년 최대 경제 이슈로 ‘청년실업 및 고용문제’를 꼽았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24일 서울연구원이 발표한 ‘2018년 4/4분기 서울시 소비자 체감경기와 2019년 주요 경제 이슈’에 따르면, 서울시민이 생각한 내년 경제 이슈 1위는 ‘청년실업 및 고용문제’(33.1%)였다. 이어 ‘부동산 경기’(12.6%), ‘최저임금 인상’(9.2%), ‘생활물가 상승’(7.4%), ‘자영업자 등 소상공인 문제’(5.0%), ‘남북경협’(4.7%) 순이었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8~20일 서울지역 표본 1,013가구를 대상으로 실시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08%p이다.


‘각 경제 이슈가 내년에 얼마나 개선될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서울시민 대부분은 크게 개선되지는 못할 것으로 봤다. 200점 만점을 기준으로 ‘전혀 개선되지 않을 것’ 0점, ‘그대로이다’ 100점, ‘매우 개선될 것’ 200점을 부여하여 환산한 결과 13개의 경제 이슈 중 기준치 100점을 넘는 이슈는 ‘4차 산업혁명 대응’(102.4점) 1개뿐이었다. ‘주식시장’(99.7점), ‘남북경협’(98.0점), ‘에너지 정책’(97.5점), ‘부동산 경기’(96.8점) 등 나머지는 모두 기대 이하였다. 특히 ‘소득양극화’가 87.3점으로 가장 개선이 어려울 것으로 전망됐다.

관련기사



점수와 별개로 이슈별로 ‘개선될 것’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이 나온 건 ‘남북경협’(36.6%)이었다. 다음은 ‘4차 산업혁명 대응’(32.6%), ‘부동산 경기’(32.4%), ‘가계부채 증가’(32.0%) 등이었다. 반면, ‘개선되지 못할 것’이라는 응답 비율이 가장 높은 이슈는 ‘저출산 및 고령화 문제’가 였고, ‘소득 양극화’(48.3%), ‘자영업자 등 소상공인 문제’(47.7%), ‘청년실업 및 고용’(46.0%) 등이 그 뒤를 이었다.

한편, 서울시민의 체감경기를 나타내는 ‘소비자태도지수’는 올해 4분기 94.4로 3분기 대비 1.5p 감소했다. ‘주택 구입태도지수’와 ‘내구재 구입태도지수’도 3분기보다 감소했다. 서울연구원은 “9·13 부동산대책 등 영향으로 주택 매매가격 오름세가 둔화하고,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도 상승할 가능성이 커지면서 대다수 시민은 주택 구입에 보수적 입장인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박원희 인턴기자 whatamove@sedaily.com

박원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