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한일, 강제징용판결후 첫 국장급협의…레이더갈등도 논의

오전에 한일 북핵 수석대표 협의도 진행

日가나스기 국장 취재진 질문에 ‘묵묵부답’

가나스기 겐지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이 24일 오후 이도훈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및 김용길 동북아국장과 각각 한일관계 주요 현안 협의를 마친 뒤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를 나서고 있다. /연합뉴스가나스기 겐지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이 24일 오후 이도훈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및 김용길 동북아국장과 각각 한일관계 주요 현안 협의를 마친 뒤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를 나서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과 일본이 지난 10월 일본 기업에 대한 우리 대법원의 강제동원 배상 판결 이후 처음으로 한자리에 앉았다.

김용길 외교부 동북아국장과 가나스기 겐지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은 이날 오후 서울 도렴동 외교부 청사에서 국장급 협의를 열고 강제징용 배상 판결을 비롯한 한일 주요 현안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가나스기 국장은 ‘강제징용 배상 판결을 수용할 것이냐’는 등 취재진의 질문엔 대답하지 않은 채 청사 안으로 향했다. 양국 정부 당국자가 이 문제에 관해 협의하는 건 지난 10월 30일 대법원의 강제동원 배상 판결 이후 사실상 처음이다.


이번 협의는 판결 이후 한국을 향해 거친 발언을 쏟아내던 일본 측이 최근 ‘한국 정부의 대응을 기다리겠다’고 밝히면서 다소 누그러진 분위기에서 이뤄졌다. 이번 협의에서 우리 측은 배상 판결에 따른 정부의 대응 마련 상황을 일본 측에 설명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과거사 문제는 과거사 문제대로 지혜롭게 풀어가면서 한일관계는 미래지향적인 관계로 발전시키기 위해 일본 측의 신중한 대응을 촉구한 것으로 전해진다. 일본 측은 한국 대법원 판결이 “1965년 청구권 협정에 위배된다”며 일본 기업에 피해가 가선 안 된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관련기사



이번 협의에서는 또 우리 해군이 지난 20일 동해상을 비행하던 일본 해상자위대 초계기에 레이더를 비춘 데 대해 일본 측이 재차 문제를 제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 국방부는 당시 조난한 북한 어선을 구하기 위해 레이더를 가동한 것이라고 밝혔으나, 일본 측은 “공격용 레이더를 몇분간 여러 차례 겨냥했다”며 한국의 대응을 연일 비판하고 있다.

앞서 양국 북핵 협상 수석대표인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가나스기 국장은 이날 오전 만나 북핵·북한 문제에 대해 의논했다. 양측은 최근 미국 등 관련국들과의 협의 결과를 공유하고, 북미 후속협상 재개를 위한 외교적 노력과 양국 간 협력 등 비핵화·평화체제 구축의 실질적 진전을 위한 다양한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고 외교부는 전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양측은 이번 협의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긴밀한 소통과 협력을 지속해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박원희 인턴기자 whatamove@sedaily.com

박원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