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中 첨단산업 굴기 현장을 가다]'신에너지차 육성' 액셀 밟는 中

'제조 2025 프로젝트'에 핵심 축

자체 브랜드 전기차·하이브리드

2020년까지 年 판매 100만대로

연료 핵심소재 국산화 목표도

지난 21일(현지시간) 중국 선전 BYD(비야드) 본사에서 열린 전시회에서 한국의 전문가들이 진열된 전기차를 살펴보고 있다.  /선전=김창영기자지난 21일(현지시간) 중국 선전 BYD(비야드) 본사에서 열린 전시회에서 한국의 전문가들이 진열된 전기차를 살펴보고 있다. /선전=김창영기자



대전환기를 맞은 미래 자동차 시장을 장악하기 위한 신에너지자동차 육성은 시진핑 정부의 미래 제조업 육성정책인 ‘중국 제조 2025’의 주요 축 가운데 하나다. 시진핑 지도부가 지난 2015년 발표한 ‘중국 제조 2025’에 담긴 자동차 산업 육성 로드맵에 따르면 중국은 2020년까지 중국 자체 브랜드의 전기자동차 및 플러그인하이브리드(HEV) 차량 연간 판매대수를 100만대, 국내 판매점유율를 70%로 끌어올릴 예정이다. 이어 2025년까지 국제 선진기준에 달하는 친환경차 판매대수를 300만대로 확대하고 중국 브랜드 2개 이상을 세계 친환경차 판매 상위 10위권에 포함시키는 포부를 갖고 있다. 해외 수출도 본격화해 2025년에는 해외판매 비중을 10% 이상으로 끌어올릴 방침이다.

2515A05 중국제조2025신에너지자동차계획


이를 위해 중국은 지난 수년간 전기차에 보조금을 지급하며 시장 기반을 다져왔다. 전기 승용차의 경우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로부터 최대 12만위안을 지원받았다. 선전시에 공급된 전기택시 BYD(비야드) ‘e6’의 가격은 30만위안이지만 이 가운데 7만5,000위안은 정부가 보조금으로 지급하고 있다. 중국이 오는 2020년 보조금 제도를 폐지하는 것은 이미 전기차 시장의 기반이 어느 정도 갖춰졌기 때문인 셈이다.


신에너지차의 핵심부품 국산화에도 속도를 낸다. 최근 중국이 미중 무역 및 첨단산업 전쟁에서 고전하는 이유는 핵심기술의 해외의존도가 여전히 높기 때문이라는 분석에 따라 첨단산업인 신에너지차 부문에서 기술 국산화에 속도를 내겠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2020년까지 동력전지, 구동모터 등 핵심부품 국산화율을 80%까지 높이고, 2025년에는 연료전지 핵심소재와 부품도 국산화에 성공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2030년에는 국내 자동차부품업체 3곳을 선진시장의 주도권에 포진시킨다.

관련기사



중국 당국은 일찌감치 신에너지차 상용화에 돌입한 지방정부에서 시범 운행과정에서 겪은 시행착오도 정책에 반영하고 있다. 중국 최대 성(省)인 광둥성은 앞서 충전 인프라 미비로 어려움을 겪은 경험을 반영해 지난 6월 신재생에너지차 발전계획을 발표하고 인프라 건설 계획을 공개했다. 신규 고속도로 휴게소 주차 공간에는 전체 주차가능 차량의 절반에 달하는 급속 충전시설을 설치하기로 했다. 신규 건설 주택은 주차가능 차량 대수만큼 충전시설을 설치해야 한다.

조철 산업연구원 중국산업연구부 부장은 “중국은 내연기관차에서 선진국과 격차가 크다고 판단해 초기 단계인 신에너지차 발전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며 “각종 정책에 신에너지차 육성 목표를 명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선전=김창영기자 kcy@sedaily.com

김창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