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국회 찾은 故 김용균씨 어머니 "용균이 동료들 살려달라"

민주·한국·바른미래·정의당 대표와 면담…‘김용균법’ 통과 호소

태안화력발전소 청년 노동자 고 김용균 군의 어머니 김미숙(오른쪽)씨가 24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고용노동소위를 방문해 임이자 소위원장과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태안화력발전소 청년 노동자 고 김용균 군의 어머니 김미숙(오른쪽)씨가 24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고용노동소위를 방문해 임이자 소위원장과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아들이 억울하게 죽었습니다. 정부가 죽인 것이나 마찬가지입니다.”


태안화력발전소에서 작업 도중 사망한 고(故) 김용균씨의 어머니 김미숙 씨는 24일 오전 국회에서 더불어민주당 지도부와 만나 흐느꼈다. 김씨는 “‘나라 기업이라면 어느 기업보다 낫겠지’하고 보냈는데 실제는 아니었다. 작업현장을 보고 너무 놀랐고 처참했다”면서 “조금이라도 아이에 관심을 뒀더라면 살릴 수 있었을 텐데 자책감이 든다”며 슬픔을 감추지 못했다. 그는 “실상을 모르는 국민이 너무 많다. 알았다면 누구도 그런 곳에 자녀를 보내지 않았을 것”이라며 “또다시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는, 국민이 안심하고 살 수 있는 나라가 되도록 정부가 책임지고 앞장서길 부탁한다”고 호소했다. 그러면서 “여러분이 도와주셔야 한다. 법안이 통과되지 않으면 우리 아들들이 또 죽는다”며 이른바 ‘김용균법’이라 불리는 산업안전보건법 개정안을 국회에서 통과시켜달라고 당부했다. 이에 민주당 이해찬 대표는 “아들의 죽음이 헛되지 않도록 법안을 개정해서 안전장치를 마련하겠다는 게 당의 공식 입장”이라면서 “26일 정부와도 다시 협의해서 가능한 한 빨리 법 개정을 하겠다”고 약속했다.

관련기사



김씨는 민주당을 찾아가기 앞서 정의당 이정미 대표와 만남을 가졌고 관련 법안을 논의하는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고용노동소위원회 회의장도 찾아 ‘김용균법’ 통과를 호소했다. 이 대표는 “정의당도 너무 죄송하다. 2년 전에 우리가 법안을 내놓고 통과시키지 못해 용균이를 보냈다”면서 “이번 12월만큼은 반드시 이 법이 통과될 수 있도록 죽을 힘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에 김씨는 “우리처럼 없는 사람들은 인권도 무시되도록 법이 만들어져 있다. 우리도 따뜻한 가슴을 가진 사람인데 왜 이런 취급을 받아야 하는지 모르겠다”며 “우리 용균이를, 동료들을 살려주길 간곡히 부탁한다”고 촉구했다.

김씨는 바른미래당 손학규 대표, 자유한국당 김병준 비상대책위원장과도 연이어 만났다. 손 대표는 김씨와 만나 “정부 법안이 방대해서 검토가 필요해 오늘내일 처리하는 것은 무리라고 들었다”며 “또, 한국당이 반대를 하고 있어 입법이 현실적으로 간단치 않다”고 밝혔다. 다만 같은 당 채이배 의원은 “반드시 이번 27일 본회의에서 법안이 통과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는 약속을 드린다”며 “정부안은 내용이 방대한 만큼 가장 급한 것부터 처리하고 이후 다른 내용은 내년 2월 국회에서 통과될 수 있도록 논의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한국당 김병준 비대위원장은 “이런 문제를 일일이 챙기지 못한 데 대해 정당의 비대위원장으로서 책임감을 무겁게 느낀다”며 “우리 사회의 안전과 관련해서 생명의 고귀함을 알고 신경을 썼어야 했는데 정치권이 그렇게 하지 못한 부분이 있다”며 언급했다. 김 비대위원장은 “법 전체를 개정하느냐, 부분 개정하느냐를 놓고 국회 안에서 입장이 조금씩 다르다”면서도 “이 문제에서는 여야가 따로 없다. 우리 사회 안전성을 높이는 데 매진하겠다”고 밝혔다. /박원희 인턴기자 whatamove@sedaily.com

박원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