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가

[파이낸셜포커스] '연봉 1억' 국민銀노조 "성과급 더 달라"며 파업 위협

[19년 만에 총파업 한다는 국민銀노조]

"실적 관계없이 300% 지급해라"

유니폼 없앴는데 피복비 요구도

27일 찬반투표…"여론 곱지 않아"

2515A08 KB국민은행 노사 주요 대립 현안



KB국민은행 노조가 내년 초 19년 만에 총파업에 들어갈 태세다. 평균 연봉이 1억원에 가까운 직원들이 300%의 성과급(보로금)을 요구하고 유니폼을 폐지했으니 연간 100만원의 피복비를 신설하라고 주장한 것을 사측이 거부해서다. 예대마진으로 손쉽게 이자이익을 올린다는 비판을 받고 있으면서도 내부 혁신은 아랑곳하지 않고 제 몫만 챙기려 드는 노조에 대한 시선은 곱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날 중앙노동위원회에서 열린 2차 조정회의에서도 노사가 견해차를 좁히지 못함에 따라 KB국민은행 노조는 총파업에 돌입할 예정이다. 오는 27일 열리는 쟁위행위 찬반투표에서 통과되면 내년 초 파업을 개시할 것으로 알려졌다. 핵심안건은 임금인상 및 성과급, 피복비·제화비, 임금피크제, 페이밴드, 중식시간 1시간 보장 등이다. 우선 성과급과 관련해 노조는 이익성과급(PS)을 대체하는 300% 지급을 요구하고 있고 은행은 올해 경영목표를 채우지 못함에 따라 조정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특히 지난해 말 양측은 올해부터 PS제도를 자기자본이익률(ROE) 방식으로 개선해 지급하는 데 합의했지만 세부 논의가 지지부진한 채 올해도 지난해에 이어 300%를 달라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신한은행과 우리은행은 성과연동 지급 방식을 택하고 있으며 농협은행은 보로금 200%를 연말에 지급할 예정이다.


노조는 또 올해 유니폼을 폐지했으니 피복비와 제화비 명목으로 매년 100만원 지급을 정례화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반면 은행은 자율적이고 수평적인 기업문화 정착을 위해 유니폼을 없앴는데 전 직원에게 피복비를 지급해야 한다는 논리는 맞지 않는다고 맞서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사상 최대 이자이익에 대한 비판과 금융의 사회적 역할이 강조되는 시점에서 직원 복지를 명분으로 파업에 나선다면 여론의 지지를 받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금융 노사가 합의한 임금피크제 진입시기 연장도 쟁점이다. 노조는 현재 기준으로 1년 늦춰야 한다고 하고 은행은 이참에 부점장과 팀장급 진입시기를 조정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상황이다. 페이밴드에 대해서도 노조는 폐지, 은행은 전 직급 도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맞서고 있다. 지난 2014년 도입한 페이밴드는 일정 기간 안에 직급 승진을 못하면 임금이 오르지 않는 연봉제의 일종이다. 당시에는 적용 대상인 신입 행원이 당장 승진할 일이 없어 큰 타격을 받지 않았지만 4년이 지나면서 사정이 달라졌다.

중식시간 1시간 보장에 대해서는 금융 노사가 산별교섭에서 1시간의 휴게시간 보장을 위해 각 기관 및 영업점 사정에 따라 별도로 정할 수 있다고 합의했는데 노조는 PC오프제로 중식시간 1시간을 무조건 보장하라는 것이다. 이 외에 L0 등 저임금 직원에 대해 노조는 일반직원(2.6%)의 두 배 수준인 5.2% 인상을 주장하고 있으며 은행은 지난해 4.0%를 인상했으니 요구 수준만큼은 힘들다는 입장이다.

이처럼 의견이 팽팽히 맞서면서 국민은행 노조는 이미 파업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총파업 결의대회를 이어가고 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고객 불편을 아랑곳하지 않고 파업으로 치닫는 것은 집단 이기주의로 비쳐질 수 밖에 없어 대화를 통해 이견을 좁혀 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황정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